-
미국과 중국 간 발발한 무역 갈등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서로 무기만 들지 않았을 뿐 전쟁을 방불케 한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20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부과 방침을 발표했다. 총 6031개에 달하는 관세부과 대상 품목도 공개했다.
중국 정부 역시 미국 추가 관세부과 조치에 강력 반발하며 보복대응 및 WTO 제소 방침을 밝혔다. -
두 나라의 갈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역시 내상을 입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12일 전일 대비 5.90원 오른 1125.9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1130.1원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들어 최고치다.
환율은 1월 2일 1061.20원으로 시작해 6개월 동안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유지해 왔다. 6월 7일까지도 원/달러 환율은 1069원을 기록 중이었다.
그러나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중국과 무역 갈등 조짐을 보이면서 6월 19일에는 1116원까지 급등했다.
상황은 급변했지만,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일단 글로벌 금융시장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을 하겠단 심산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같은 문제로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캐나다를 비롯해 신흥국 대부분은 기준금리를 인상해 달러 강세에 대응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2차례 더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다. 사실상 달러 강세를 막기 위해선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쉽지 않은 결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추세면 국내 외국인 투자자의 달러 자금 이탈이 시작될 것”이라며 “하지만 가계부채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은행도 쉽게 금리를 올리긴 힘들어 보인다”고 말했다. -
◆미-중, 무역 갈등 해결 변곡점은 11월
전문가들은 중국의 대미 관세보다 미국의 대중 관세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진단이다.
대미 관세 품목은 대두, 돈육, 자동차 등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해 수출하는 품목인 만큼 국내 영향은 미비하다.
하지만 미국의 대중 관세 품목은 항공기, 기계 부품 등 국내에서 생산돼 중국에서 최종재로 제조된 후 미국으로 수출되는 품목이라 국내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2차 관세 품목은 전자기기, 반도체 관련 품목 등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주력 제품이라 대중국 수출에 미치는 여파가 크다.
일단 중국은 유럽과의 연대로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중·동유럽 16개국 정상회담에 참여해 무역 전쟁의 우군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독일의 메르켈 총리를 만나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돼 중국은 보호무역주의를 다자주의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의회의 눈치를 봐야 한다. 일단 미국 상원의원은 대통령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관세를 부과할 때 의회의 승인을 먼저 얻도록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결의안은 구속력이 없어 사실상 대통령의 관세부과를 막을 순 없다.
여기에 오는 11월 미국은 중간선거를 치른다. 민주당은 미국 공장의 해외이전 가능성, 소비자물가 상승 등을 거론하며 표심을 잡을 생각이지만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
토러스투자증권 전상용 애널리스트는 “미국 내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무역 전쟁에서 점차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또한 관세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내수 둔화 등으로 인한 경제 지표가 악화될 경우 미국이 무역 전쟁에서 완화적인 제스처를 취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