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일자리창출·금융산업발전 위한 포럼 개최단순반복 업무 직원 재교육 통해 IT-디지털 전문인력으로 키워야
  • 4차 산업혁명시대에 금융권의 일자리창출을 위해서는 인력의 재교육과 재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조영서 신한금융지주 디지털전략본부장은 26일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의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시대 일자리창출·금융산업발전 위한 집중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전통적 역할의 감소와 동시에 새로운 고용기회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영서 본부장은 이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와 대응’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혁신적 상품서비스를 위한 기획과 마케팅 등 비즈니스인력의 디지털역량 개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본부장은 “금융권 자체로 보면 단순 반복 업무는 고용의 수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며 “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빅데이터 분석 등 IT/디지털 부문은 새롭게 필요한 기술들이 있고 그 역량을 갖춘 사람들은 계속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텔러나 대면채널 인력의 재교육을 통해 자산관리 같은 고부가가치 업무로 재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객 1명의 1년 간 은행방문 횟수가 5회에 불과한 상황에서 대면 응대의 필요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신한금융은 대면직원이나 텔러 등 일부 직원들을 디지털 교육을 시켜서 관련 부서로 재배치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에 배고픈 금융권’이라는 주제발표를 맡은 김형선 IBK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은행의 디지털 인력확보가 최우선 과제지만 실상은 전문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전체 직원 중 IT인력 비중은 27%에 달하지만 국내는 4%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자회사 등 계열사를 포함한 인력으로 금융권 IT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라며 “특히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의 인력을 정부가 통제하고 있어 관련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은행의 임금피크제 대상직원은 올해 533명이지만 2021년에는 1028명으로 늘어날 예정”이라며 “국책은행 인력의 고령화가 심각하기 때문에 임금피크제와 명예퇴직 활성화로 신규채용과 인력운용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