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에 주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된 이후 금융노동자들의 근로시간이 주 3.6시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노동자들은 금융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이슈로 ‘디지털 금융 확대에 따른 금융산업의 재편’과 ‘금융회사 간 과도한 경쟁’을 꼽았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금융산업위원회(이하 경사노위)는 22일, ‘금융산업 발전 및 좋은 일자리 유지·창출을 위한 금융산업공동실태조사(이하, 공동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공동실태조사는 노사가 제안한 4개 의제(노동시간단축을 통한 고용안정, 금융권의 과도한 경쟁문화 개선, 임금체계 개선, 산별교섭 효율화)에 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사전에 금융 산업 종사자들의 근로실태와 인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해 지난 8월 진행됐다. 설문문항은 금융환경과 노동시간, 임금, 산별교섭, 노동조건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 결과에 따르면 종사자들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총 48.8시간으로 2018년 금융산업노조 설문조사 결과인 52.4시간 보다 3.6시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 상한제 실시가 근무시간 단축에 일정하게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실제 주52시간 상한제 실시 후 ‘노동시간에 변화 없다’는 응답(31.7%)보다 ‘약간 또는 많이 줄었다’는 응답(64.6%)이 높게 나타났다. 단축근무를 위한 제도들(PC 오프제, 경영평가 반영, 기타 출퇴근제도 등)도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종사자들은 노동시간이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가(혹은 이어질 것인가)에 관한 질문에 4165명(74.1%)이 ‘아니다’고 답했다. 대체로 노동시간 단축이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는 않는다(않을 것이다)라고 보고 있었다.
청년고용문제 해결을 위해서 현재 재직자들이 어디까지 감수할 용의가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는 ‘초과근무폐지(72%)’, ‘주40시간 미만으로 기본근무시간 단축(52%)’ ‘임금인상분 반납(32.3%)’, ‘임금체계 변화 감수(37.3%)’로 응답했다. -
뒤를 이어 ‘금융회사 간 과도한 경쟁’(1465명, 26.0%)과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1102명, 19.6%)가 꼽혔다.
노동자들은 이러한 금융산업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업무의 전문화’(2185명, 38.9%)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새로운 기술의 습득’에 대한 응답은 근속연수, 근무지, 고용형태별로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다만 교육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모든 기술 습득기회에 적극 참여 하겠다’(2856명, 50.8%), ‘나 스스로 찾아서라도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겠다’(739명, 13.1%)라고 답했다.
금융산업 내 종사자들의 임금은 고용형태별, 직급별, 성별, 기업별 성격 차이에 따른 격차가 컸다.
특히 고용형태에 따라 격차가 컸는데, 별도직군정규직/비정규직의 근속연수를 고려해 근속년수 10년 미만인 경우로 한정해보면, 별도직군정규직/비정규직임금은 일반정규직임금 대비 약 70% 수준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응답자의 절반이상(2999명, 53.3%)이 ‘업무차이를 고려하면 이러한 임금격차는 당연하다’고 봤다. 임금격차 축소를 위해서는 ‘수당을 통한 보상’(2770명, 49.3%)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답했다.
김유선 경사노위 금융산업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공동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해석에 있어 노사간 세부적인 이견이 존재한다”면서도 “이번 조사는 다각도의 교차분석과 인식 격차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만큼 향후 금융 산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해법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사노위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안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오는 11월말로 종료 예정된 논의시한도 내년 2월 18까지 3개월 더 연장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공동실태조사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33개 회원사 내 종사자 5622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 6일부터 8월 21일까지 총 16일간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