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세계 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는 가운데, 한국 역시 부정적 영향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벌써부터 세계 투자은행(IB)과 해외 경제연구기관들은 한국의 올해 수출과 투자 증가율 전망을 속속 낮추고 있다. 특히 영국 경제 분석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소비 부진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보고,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기존 2.5%에서 1.5%까지 내리기도 했다.
9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기관 등이 2월 집계한 올해 한국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2.1%로, 전월(2.3%)대비 0.2%P 하락했다.
응답기관 중 옥스퍼드대 산하 연구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올해 한국 수출 증가율이 0.5%에 그칠 것이라며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외 소시에테 제네랄과 JP모건 체이스는 각각 1.7%, 1.8%를 예상했다.
지난 연말 정부는 2020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수출 증가율을 3.0%로 전망했다. 이들 기관 전망치는 이보다 훨씬 낮은 수치로, 신종 코로나 사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음을 의미한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이달 초 발표한 별도 보고서에서 "한국 1월 상품 수출이 1년 전보다 6.1% 감소하며 1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며 "부진한 세계 교역을 반영한 것인데 이 같은 현상이 중국의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으로 악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신종코로나 확산에 따른) 중국 공장의 폐쇄가 한국의 중간재 수요에 압력을 가하면서 한국의 2월 수출은 분명한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경제적 파장은 수출에 그치지 않고 투자까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2월 한국의 올해 투자 증가율 전망치는 전월대비 0.1%P 하락한 1.9%로 2%대가 무너졌다. 특히 홍콩상하이은행(HSBC)과 스탠다드차타드가 각각 0.8% 전망치를 내놓아, 평균치를 끌어내렸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신종 코로나 사태로 중국산 수입이 원할하지 못한 상황이다. 여기에 소비마저 줄어들면서 산업이 위축되고 장기적으로는 설비투자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이 중국과 홍콩으로부터 수입하는 중간재 규모(식료품·에너지 제외)는 673억달러(약 80조3000억원·2018년 기준)에 달한다. 이는 주요국 가운데 미국(1700억달러) 다음으로 2위다.
핵심 중간재 수입 가운데 중국산 비중은 28.4%로, 베트남(41.6%), 필리핀(30.8%)에 이어 3번째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베트남 다음으로는 한국과 필리핀 경제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취약하다"며 "한국의 자동차나 전자제품, 일본의 섬유 등 중국 생산업체에 기대고 있는 아시아 생산업체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외 반도체 등 전자제품과 유통 등도 신종 코로나 확산에 따라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6일 보고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이 중국 안팎에서 소비심리와 소비지출을 위축시키고 생산·공급망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며 "이런 대목에서 다수 산업의 한국 기업 신용도에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상황으로 올해 성장률 전망 역시 비관적이다. 이미 일부 IB와 해외 연구기관은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한국의 올해 GDP 성장률을 2.5%에서 1.5%로 1.0%P 내렸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도 전망치를 종전 2.2%에서 2.0%로 소폭 조정했다. JP모건도 올해 성장률 전망을 2.3%에서 2.2%로 내렸다.
관심은 이달 27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수정경제전망에 쏠린다. 지난해 11월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GDP 성장률을 2.3%로 제시한 바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성장률은 한국은행 전망치인 2.3%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자동차 부품 수입도 문제지만 이외 중국에서 수입하는 중간재 부문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