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은행 성과연봉제 위한 개혁해야”…금융권 전운비대면 성과→지점 과대평가 야기, 보상체계 개선 필요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코로나19로 비대면문화가 확산하면서 은행권 성과평가체계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2016년 금융권 노사 간 홍역을 치렀던 ‘성과연봉제’ 도입 논의가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7일 한국금융연구원 김우진 선임연구위원은 ‘국내은행의 인적자원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내은행들이 성과관리 위주의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혁이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은행권은 권한분산과 디지털혁신의 시대정신에 걸맞지 않게 호봉제 중심의 집단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어 평가와 보상의 선진화가 요구된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가 은행의 비즈니스 모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인적자원 관리 전반에 걸친 대응책 마련이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디지털혁신이 일어나면서 영업점 성과관리 체계와 개인별 성과평가기준 개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례로 은행 영업점과 금융거래를 맺은 고객이 개인적으로 모바일이나 온라인을 통해 금융상품을 이용할 경우 이에 대한 성과평가가 해당 영업점 성과로 무조건 연결되는 게 관행이다. 이로 인해 디지털영업본부 등 본부부서가 상대적으로 핵심평가지표(KPI)상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언택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적절한 보상체계확보 등 인적자원 관리시스템 변화가 필요한 이유다.

    그러나 현실은 은행권 대부분이 연차만 쌓이면 쉽게 억대 연봉자가 될 수 있는 호봉제에 머물러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획일적이고 집단적인 보상체계에서 개인성과에 대한 보상이 부족해 합리적인 보상제도 운영이 어렵다”며 “개인의 역량과 성과, 직무와는 무관하게 동일직급 동일연차인 경우 똑같은 보상을 받고 있어 내부 공정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권과 정부를 대변해오는 것으로 알려진 금융연구원이 성과연봉제 카드를 약 4년 만에 다시 꺼내면서 은행권 화두로 떠오를지 관심이 쏠린다.

    성과연봉제 도입은 지난 2016년 박근혜 정권 시절 정부주도로 추진됐지만 노동계가 집단 투쟁에 나서는 등 결사반대를 하면서 무효화된 상태다.

    당시 정권교체까지 겹치면서 새로 들어선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폐지’를 내세우면서 성과연봉제 도입 논의가 사그라들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들은 성과연봉제 도입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지만 노조 반발로 인해 변화가 쉽지 않다”며 “금융연구원이 비대면거래 확대로 인한 은행의 인적관리 개선을 내세우면서 성과연봉제 도입이 조심스럽게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