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치료제 없던 시기… 거리두기 등 방역강화 효과2021년 말 오미크론 변이의 등장… 일상회복 멈춤 현재 7차 유행 정점 지나 안정세… 30일부로 실내마스크 해제
-
오늘(20일)은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3년째 되는 날이자 ‘위드 코로나’의 핵심인 실내마스크 해제 결정(30일 시행)을 한 날이다. 팬데믹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7차례에 달하는 유행이 있었고 의료진, 방역당국, 지자체는 쉼 없는 사투를 벌였다.◆ 바뀌어 버린 일상, 코로나 유행 초기집단감염 형태로 수도권(1차, 2020년 2월~5월), 비수도권(2차, 2020년 8월~10월)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했고,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화된 방역정책을 통해 코로나 유행에 대응했다.이후 요양병원, 교정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집담감염(3차, 2020년 11월~202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일일 발생 확진자 1000명을 초과하는 등 확진자 수 급증이 시작됐다.지역사회 무증상 감염자 증가 및 휴가철 등 연휴 이후 대규모 확산이 반복되는 유행(4차, 2021년 7월~) 시작으로 증가와 정체 사이를 반복했다.코로나 발생 초기엔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높은 치명률을 지닌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확진자 발생 억제’를 목표로 3T(검사·추적·치료) 역량에 집중했다, 소위 K-방역의 성과가 도출했다.아스트라제네카를 시작으로 첫 백신 접종(2021년 2월26일~)이 시작된 이후 전국민 백신접종률 70% 달성해 단계적 일상회복을 추진했으나, 그해 말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출현으로 확진자가 급증해 일상회복을 잠시 멈췄다.◆ 변이 바이러스의 역습, 오미크론 등장델타에 비해 치명률은 낮지만 전파력이 매우 높은 특성이 있는 오미크론이 문제였다. 누적 확진자 1181.5만명(2022년 3월 말) 중 1108.9만 명이(93.8%)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 이후 확진됐다. 이전 유행 양상을 뛰어넘는 가파른 급증세를 보였다.그러나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국민적 피로도 증가로 인한 방역 효율성 저하가 문제가 됐다. 당국은 유행 통제보다는 자율적 방역과 중환자 관리치료 중심의 방역체계 전환의 필요성을 고민한다.이에 위중증 및 사망 예방을 위한 선제적 4차 접종과 중환자 병상 확충에 집중하고 무증상 및 경증 코로나 환자 급증에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한다.대표적으로 동네 병의원에서 진찰·검사·치료를 받는 ‘일반의료체계’로 전환(2022년 1월28일~), 자율격리를 확대하는 재택치료(2022년 2월7일~)를 활성화했다.올해 들어 1월 2주차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4만2938명(사망자 356명)으로, 이는 전주 대비 확진자 1만6293명이 감소하는 등 안정권에 접어들었다.특히 지난 19일 기준으로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8주간 최저수치인 2만9816명을 기록하는 등 긍정적 수치로 전환됐다.
-
◆ 안전한 일상으로의 점진적 변화코로나19 초기를 지나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2022년 4월18일) 이후 재유행 상황에서도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을 넘지 않고 완만한 증가세와 감소세 전환의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정부는 새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감염병 유행 우려가 있었으나 마스크 착용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과 해외 정책동향 등 객관적 근거 자료에 입각해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이 낮은 실외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우선 전환(2022년 9월26일)했다.겨울철 재유행의 파도를 넘고 있는 지금, 예방접종과 감염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국내 항체 양성률, 선제적 해외입국 관리 조치 시행으로 중국발 코로나 상황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문가의 중론이다.최종적으로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에서는 조정지표 분석결과에 따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조정을 권고(2023년 1월17일)했다.방역당국은 “중국 내 유행이 지속되는 상황에 따라 사전 음성확인서 제출 및 입국자 전수 검사 등 선제적 검역조치를 유지하는 한편 유행 주기가 점차 짧아지는 추세에 맞춰 일반의료대응체계 전환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