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배로 "연준 현명하지 못해…금리인상 경로 지속" 에벌리 "팬데믹 기간 전반적인 불안정성 잉태"케네스 로고프 "고금리, 금융 안정성에 중대한 영향"
  •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S뉴시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S뉴시스
    미국의 경제학자들이 중앙은행의 급격한 긴축 정책이 금융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로버트 배로 하버드대 교수는 5일(현지시간) 개막한 전미경제학회(AEA) 연차총회에서 발표한 '인플레이션, 금융위기, 경기침체' 제하 논문에서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는데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명하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금리인상 경로를 지속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배로 교수는 "수년간 미국 경제는 코로나19로 시작된 경기침체와 회복, 침체에 대응한 재정지출의 막대한 증가, 그에 따른 물가 급등, 그리고 금리 상승의 영향을 받았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제로(0) 수준에서 급격히 상승한 단기금리는 실리콘밸리은행(SVB)이나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사례와 같이 미국의 금융위기 가능성을 높인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종합해 볼 때 이 같은 그림은 2024년 경기침체를 시사한다. 금융위기가 심각해지지 않는다면 침체는 경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준 부의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재니스 에벌리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코로나 팬데믹이 경제이 불안정성을 남겼다고 봤다. 

    에벌리 교수는 "'회복과 위험한 성장'의 논문에서 "기후, 갈등, 거버넌스와 관련된 새로운 도전과 더불어 팬데믹 기간 전반적인 불안정성이 잉태됐다. 이같은 불안정성은 향후 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시스템적인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역임한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전환점에 선 세계 경제' 논문에서 "팬데믹 이후 과도한 경기부양책과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성장률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세계 거시경제의 균형에 큰 충격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그는 "평균 장기 실질금리가 향후 10년간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만약 이렇게 된다면 이는 금융 안정성과 부채의 지속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