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사업성 평가기준 강화…충당금 적립 불가피"추가 적립 가능성 제한적" 예상 빗나가올해 역정상 우려에 금융지주 ‘긴축모드’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이미 넉넉하게 쌓은 줄 알았던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관련 충당금 부담이 다시 확대되면서 금융지주사들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4대 금융지주에서만 총 9조원에 달하는 충당금을 쌓았지만, 당국은 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손실흡수 능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역대 최대규모의 민생금융 지원방안과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사태에 이어 PF 충당금 부담마저 다시 확대됨에 따라 금융지주사들은 긴축 경영에 돌입하며 올해 역성장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다음달 PF 사업성 재평가 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현행 3단계인 PF 사업성 평가기준을 4단계로 세분화해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종전 대비 엄격한 평가 기준에 따라 금융사들은 부실 사업장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

    대손충당금은 금융사가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예상되는 채권을 미리 비용으로 처리하는 회계 계정이다.

    금융지주사들은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진행한 지난 2월까지만 해도 지난해 보수적 기조로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쌓은 만큼 올해는 추가 충당금 적립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충당금 적립액은 총 8조9931억원이다. 전년 대비 70.3%나 불어난 규모다.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린 영향으로 전체 이익도 감소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나, 충당금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19.9% 뒷걸음했다. 하나금융과 신한금융의 당기순익도 전년 대비로 각각 3.3%, 6.4% 감소하며 최대 실적 행진을 멈췄다.

    올해는 홍콩ELS 자율배상에 따른 충당금 적립과 함께 지난해 해소한 줄 알았던 PF충당금 부담까지 다시 커지면서 금융지주사들은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며 전사적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비영업부서 임원의 업무추진비를 삭감하는 등 판관비 감축에 나서는가 하면, 은행의 상반기 신입 행원 채용 규모도 전년대비 30~40% 축소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4월 이후 부동산 관련 충당금 이슈가 더해지면서 올해 순익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예산을 짤 때 은행 부문에서만 조단위 순익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을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