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일선 물러난지 1년, 605억 사회환원은 아직재단설립 제반작업 진행했지만 수사 이유로 중단길어지는 수사에 김 前 회장 약속이행 미지수
-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약속한 공익 재단설립이 지연되고 있다. 1년 전 발생했던 SG증권발(發) 주가조작 사태와 관련한 수사가 길어지고 있는 탓이다. 최종 결론까지 장기간 소요될 수 있다는 점에서 키움증권의 공익 재단설립이 연내는 물론 '무한 대기' 처사에 놓일 가능성이 높아졌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초까지 진행 중이었던 키움증권의 공익재단 설립이 미뤄지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재단 설립과 운영 등에 관한 제반작업을 진행중이었던 가운데 김 전 회장에 대한 수사가 길어지면서 공익재단 설립 작업도 흐지부지되는 모양새다. 공익재단 설립은 김 전 회장이 약속한 사회 환원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었다.앞서 김 전 회장은 지난해 5월 경영 사퇴와 동시 주식 매각대금 약 605억 원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했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4월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통해 다우데이타 지분 140만주를 처분해 현금화했다. 당시 키움증권은 영풍제지 사태로 주가가 20% 이상 급락한 바 있는데, 어수선한 시점에 지분을 처분한 김 전 회장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질 수밖에 없었다.업계 안팎에서는 '경영진 책임론'이 가중되면서 김 전 회장은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열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당시 지배구조가 어느정도 정리됐고 승계 작업 모두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오너 일가 입장에선 손해볼 게 없다는 입장이 지배적이었다.현재 키움증권은 '이머니→다우데이타→다우기술→키움증권→키움인베스트먼트'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다우데이타의 기존 최대주주는 김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었는데, 2021년 10월 지분을 증여하면서 다우데이타의 최대주주가 이머니로 바뀌었다. 이머니의 최대주주는 김 전 회장의 장남인 김동준 키움인베스트먼트 대표이다. 이미 안정된 지배구조로 배당 등 실익을 오너 집안이 가져가는 구조다.지배구조 논란 속에서도 김 전 회장의 사회환원 발언 자체는 논란은 잠재우기 충분했다. 문제는 그 이후였다.김 전 회장이 물러난 이후 초기에만 재단설립에 속도가 붙는 듯 했지만 이후 올 초까지 그렇다할 결과물을 내지 못한 것이다. 이제는 수사 지연을 이유로 재단설립을 미루고 있는 셈이다. 당시 키움증권 측은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적격한 이사 및 감사 인사를 아직 고려중이다"고 밝힌 데 이어 현재는 "수사가 종결된 뒤 진행하겠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일각에선 김 전 회장의 의지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통상 오너들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더라도 기업 내 전반적인 사정에는 밝을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다. 더욱이 재단설립의 경우 사회공헌 활동과도 직결돼 김 전 회장이 직접 챙길 수 있는 여력이 충분했지만 1년째 손을 놓고 있었다는 점에서 면피성 사회환원 발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또 수사가 지연되면서 향후 공익재단 설립의 우선순위도 밀릴 가능성이 크다. 현재 주가조작 사태의 라덕연 호안투자자문 대표가 사태의 책임을 키움증권과 김 전 회장에게 돌리면서 양 측간 팽팽한 대립이 맞선 상태다. 특히 라 대표의 1심 결과는 9월 경 마무리될 전망에 키움증권과 연계된 사건의 최종 판결은 더 길어질 전망이다.이와 관련 익명의 투자업계 관계자는 "1년 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당시 사회환원 발언에 신뢰가 가지 않았다"며 "현재까지 아무런 결과물이 없었다는 점에서도 재단 설립이 최종적으로 이뤄질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언급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김익래 전 회장의 주식 매도 과정이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주가폭락 전 대량 매도 자체가 우연으로 보기엔 어렵다"며 "한차례 잃었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관건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