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현 부회장 DS '전권한종희 부회장과 2인 대표 체제로정현호 사업지원TF 부회장 등 핵심 인사 대부분 유임파운드리 변화 초점 … 사업 지속 의지 보여계속되는 사법리스크 부담 … 사업지원TF 영향력 확대
-
삼성전자가 예상보다 변화 폭이 적은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며 경영 위기상황에서도 여전히 이어지는 사법리스크로 인한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이 나온다.삼성전자는 27일 2025년 사장단 인사를 통해 한종희 부회장 단독 대표이사 체제에서 한종희, 전영현 부회장 2인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을 발표했다.지난 5월 인사로 반도체(DS)부문 새 수장으로 돌아온 전영현 부회장은 물론이고 일각에서 교체가 유력했던 대부분의 부회장급 최고경영진들이 대부분 유임됐다는 점이 이번 사장단 인사에서 가장 주목받았다. 한 부회장과 더불어 사업지원TF를 이끌고 있는 정현호 부회장도 유임되면서 사실상 최고경영진 라인에는 변화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이번 삼성 경영 위기의 근원이자 대폭적인 쇄신이 이뤄질 것이라던 DS부문도 전영현 부회장이 핵심 사업부인 메모리를 전담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기대했던 것 이상의 큰 변화는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DS부문의 경우 대부분의 사업부장들이 교체되고 신규 리더십을 발굴할 것이라는 예상이 컸지만 집중적인 사업 재건이 필요한 파운드리 사업부를 제외하면 사장단에서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삼성은 이번 사장단 인사에서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내비쳤다. 한진만 DS부문 DSA총괄 부사장을 신임 파운드리사업부장으로 선임하고 사장급으로 승진 인사 조치한 것은 앞으로도 삼성이 뒤쳐진 파운드리 사업성을 회복하고 기술 리더십을 이어가는데 힘을 실을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보인다.게다가 파운드리 사업부에 사장급 CTO(최고기술책임자) 보직을 신설해 반도체 공정개발 및 제조 전문가인 남석우 사장을 앉힌 것도 삼성의 메모리 1등 정신을 파운드리에 깊게 심겠다는 전략 일환으로 해석된다. 남 사장은 반도체연구소에서 메모리 전제품 공정개발을 주도하고 메모리·파운드리 제조기술센터장, DS부문 제조&기술담당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선단공정 기술확보와 제조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삼성은 "반도체 공정 전문성과 풍부한 제조경험 등 다년간 축적한 남 사장의 기술리더십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기술력 제고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최고경영진 리더십을 이어가는 동시에 반도체 부문도 전영현 부회장에 힘을 더 실어주는 수준에서 사장단 인사가 마무리되면서 삼성이 여전히 사법리스크의 짐을 내려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 안팎에선 물론이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현재 삼성의 경영 위기 상황을 실감하고 있다고 밝혔을 정도로 위중한 상황 속에서도 큰 폭의 쇄신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지난 25일 이 회장이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에서 "지금 저희가 맞이한 현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녹록지 않지만 어려운 상황을 반드시 극복하고 앞으로 한발 더 나아가겠다"고 말하면서 이번 인사가 이 회장의 이 같은 의지를 반영해 대규모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하지만 이와 달리 아직은 사법리스크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 인사라인에서의 변화보단 이른바 '믿을맨'들을 중심으로 한 안정된 구조 속에서 사업 추진 방식의 변화를 추구하는 전략을 펴는 것으로 보인다.이 회장의 경영 공백을 대신해 운영되고 있는 삼성전자 사업지원TF가 이번 인사로 더 강화된 것도 길어지는 사법리스크 상황에 대비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김용관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DS부문 경영전략담당을 맡으면서 사업지원TF를 떠났지만 실질적으로는 사업지원TF의 영향력이 DS부문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할 것이라는데 무게가 실린다. 사업지원TF 사장들 중에서도 반도체 기획과 재무업무를 담당했던 이력이 있는 김 사장이 위기의 근원인 반도체 조직에 직접 투입된 것으로 보인다.박학규 DX부문 경영지원실장(사장)이 사업지원TF에 합류하게 된 것도 사업지원TF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박 사장도 삼성의 대표적인 전략가 중에 한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내년에도 사업지원TF를 계속 이끌게 된 정현호 부회장과 함께 삼성전자 미래사업 추진 방향성과 투자, 인수합병(M&A) 등 굵직한 의사결정 과정에 핵심 역할을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