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새 치료거부 경험 환자 7%p·치료지연 경험 환자 8%p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정부에 의료공백 막을 실효적 제도 재정비 촉구
  • 의대 입학 정원 증원을 놓고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5개월이 넘어가면서 의료현장에서 환자들이 체감하는 의료공백이 악화되고 있다.

    5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KCPRC)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의 63%가 진료거부를 겪었으며 51%가 치료지연을 경험했다.

    췌장암 환자 2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료공백으로 발생한 암환자 피해사례 2차 설문조사' 결과다.

    지난 5월 진행한 1차 설문조사에서는 췌장암 환자 189명 중 56%가 진료거부를 경험했고 43%가 항암치료가 지연됐다고 분석됐다. 한달새 진료거부를 경험한 환자 비율이 7%p(포인트), 치료 지연을 경험한 환자 비율이 8%p씩 높아진 것이다.

    환자들은 ▲외래진료 지연 ▲항암치료 지연 ▲입원실 축소로 인한 입원 지연 ▲신규 환자 진료거부 등의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정부에 ▲의료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체계 마련 ▲대형병원 병상 수 축소 및 지역병원 활성화 ▲전공의 수급 고려해 수도권 병상 허가 재검토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 비중 높여 지역 및 공공의료 강화 ▲비대면진료의 공공적 관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환자단체 참여 확대 등을 요구했다.

    김성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회장은 "정부는 비상 체계로, 의료계는 남아있는 의료진의 노력으로 중증 및 응급환자 큰 문제없이 원활하게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발표했지만 이는 포장된 내용임이 설문조사 자료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더 이상 환자를 의정 갈등의 도구로 쓰는 것을 멈춰달라"면서 "정부는 의료개혁을 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을 실효적 제도를 재정비함에 주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