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에 내린 진료유지·업무개시 명령 취소할 때까지 휴진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설문조사응답자 939명 중 63.4%가 휴진 찬성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전체 휴진에 돌입한다. 다른 대학병원 교수들도 휴진 행렬에 동참할지 주목된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전공의를 향한 행정처분이 완전히 취소되고 이번 의료사태의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면 오는 17일부터 진료를 중단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지난 3~6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전공의 행정처분 예고와 관련한 교수 행동 방향'에 대한 1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939명 중 63.4%가 '휴진을 포함한 강경 투쟁'에 찬성했다.

    '휴진 방식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2차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 750명 중 68.4%가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전체 휴진'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했다.

    비대위는 "정부가 모든 전공의에 대해 내린 '진료유지' 명령과 '업무개시' 명령을 완전히 취소하고 정부의 자기결정권 박탈 시도로 현 사태가 악화한 책임을 인정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시적인 조치를 취할 때까지 전면 휴진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저희의 휴진으로 불편을 겪게 되실 환자분들께 진정으로 죄송하다"면서 "의사로서의 책무를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만으로 개인의 자유를 헌신짝처럼 여기는 정부의 처사를 용납한다면 정부가 다음에는 어떤 직역의 자유를 빼앗으려 할지 모른다"고 토로했다.

    휴진 대상에서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의료 부서는 제외할 방침이다.

    비대위는 "중환자실과 응급실 등의 필수진료는 이전보다 더 강화해 유지할 것이다"면서 "다만 병상이 한정돼 있으므로 중증 환자분들께 진료 기회를 양보해 주실 것을 아울러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