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중단 시 사망률 높아 휴진 없이 계속 진료홍승봉 교수 "환자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 멈취야"휴진 참여 종용에 곳곳에서 불편한 심기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뇌전증 교수들이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전면 휴진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앞서 대한분만병의원협회도 동일한 결정을 내렸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회원 투표를 통해 불참을 선언한 것은 아니지만 자율적 판단에 따라 환자를 돌보기로 했다. 
     
    14일 국내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오는 18일 단체 휴진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은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뇌전증은 치료를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의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이 있어서는 안 된다. 

    협의체에 따르면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 중단 시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 

    이 분야 의사들의 동시다발적 휴진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으로 휴진에 불참한다고 선언한 것이다. 

    홍승봉 협의체 위원장(삼성서울병원 신경과)은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보아야 하는 의사들이 완전히 반대로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단체 휴진으로 처방전을 받지 못하는 뇌전증 환자들은 처방전 없이도 항뇌전증약을 구입했던 약국에서 이전 처방대로 차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앞서 전국 140곳의 대한분만병의원협회도 휴진 대신 자리를 지키기로 했다. 공식 지침을 내린 상황은 아니지만, 주요 임원진들은 산모와의 약속을 깨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대한아동병원협회의 경우도 협회 차원에서 휴진 참여 여부를 설문조사해 발표한 것은 아니고 자율적 판단에 맡길 예정이다. 최용재 회장은 "환자와의 신뢰, 아이를 지켜야 하는 심정을 외면하라고 종용하는 조치를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들을 포함해 의료계 내부에서는 속속 휴진 불참을 이어가겠다는 분위기가 관측되고 있다. 오는 18일 역대급 의료공백이 예상되지만 현장에 남아 환자를 보겠다는 의지도 포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