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용량 3제 고혈압 복합제와 표준용량 단일제 투여군 간 차이 없어환자 복약편의성 제고 기대국내 최초 저용량 3제 고혈압 복합제 출시 목표시
  • ▲ 이무용 동국대 의과대학 심장내과 교수가 유럽 고혈압학회 연례학술대회(ESH)에 참가해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한미약품
    ▲ 이무용 동국대 의과대학 심장내과 교수가 유럽 고혈압학회 연례학술대회(ESH)에 참가해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한미약품
    한미약품이 지난 5월31일부터 6월4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고혈압학회 연례학술대회(ESH)에 참가해 저용량 항고혈압 성분 3제 복합제 기반의 연구결과(HM-APOLLO-301)를 소개했다고 21일 밝혔다.

    발표는 이무용 동국대 의과대학 심장내과 교수가 맡았다.

    이번 임상 3상 시험 연구는 경증 또는 중등증의 성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저용량 3제 복합제 또는 표준용량 단일제를 8주간 투여한 이후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 변화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투여 8주 후 저용량 3제 복합제 투여군의 수축기 혈압은 기저치 대비 약 18.3mmHg 감소했고 대조군인 표준 용량 단일제 투여군은 약 19.4mmHg 감소해 유사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사례 발생률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저용량 3제 복합제의 유효성과 내약성이 표준용량 단일제와 유사함을 확인했다.

    항고혈압 성분 3제를 저용량으로 병용하는 것이 초기 고혈압 치료요법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았다고 한미약품 측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발표에서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은 아직 그 발병기전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며 "단일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임상적 관성에서 벗어나 여러 병리학적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환자의 치료 예후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 초기 고혈압 환자에서 저용량 병용요법이 낮은 약제 전환율과 양호한 내약성, 단일요법 대비 비열등한 강압 효과를 가진다는 임상적 근거들이 축적되고 있다"면서 "향후 고혈압 초기 치료 시 약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환자의 복약편의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미약품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 3상시험을 속도감있게 추진해 국내 최초로 저용량 3제 복합제를 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