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여파, 가장 취약한 의료분야 공백으로응급·외상센터 선택할 '특단 지원책' 선결과제기피과 구출이 시급 … 남은 인력으로 돌아야 할 판
-
경기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로 인해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국내 의료체계상 응급·외상 기능은 유지하고 있어 부상자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의료대란이 장기화하면 이 분야 인력난 극복이 어려워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아리셀 공장 화재와 같은 큰 사고가 나면 병원 전 단계 대응과 응급이나 외상센터로 이송하는 신속한 대처가 필수적이다. 이번 사고는 화재로 인한 소방당국의 대처가 구조가 중요한 것이지만 의료체계 역시 뒷받침돼야 한다.응급, 중증외상 분야는 타 진료과와 달리 전체 휴진 상황에서 가동된다. 최전방에서 위급한 환자를 대처하는 기능은 최소한으로 남았지만 배후진료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가뜩이나 열악한 환경 속에 남은 의료진들의 고충도 커지는 셈이다.의대증원 문제로 의정 갈등이 심화하면서 응급의학과, 외상학 세부전문의 배출은 한계점으로 꼽힌다. 전공의 부재는 물론 소멸로 향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는 것은 해당 분야 의사들이 느끼는 공통적 고민이다.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A교수는 "수도권은 아직 버틴다고 해도 현재 부울경 지역을 비롯한 지역병원에서 응급실 의사를 구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워진 상태"라며 "이대로면 지방에서 응급환자들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그는 "떠난 전공의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고 남은 인력으로 막아야 한다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다"며 "향후 3년간의 공백을 예상하고 있으며 수도권과 지역의료의 격차는 응급상황에서 더 벌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중증외상 분야도 마찬가지다. 큰 사고가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중증외상센터는 병원 경영의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동하고 외상 전문가들의 대우는 취약한 구조에 놓였다.권역외상센터 소속 B교수는 "전방위적인 필수의료 살리기에 돌입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향성이지만 각종 대책에서 사각지대에 놓인 상태"라며 "무엇보다 수가 정상화를 통한 인력 배출에 힘을 기울여야 하는데 역부족"이라고 진단했다.이어 "가뜩이나 부족한 인력인데 의대증원 갈등이 심화하다 보니 앞으로 이 분야를 수련할 미래 의사가 배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며 "우선순위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했다.아리셀 공장 화재와 같이 예방이 중요하지만 언제든 예고 없는 큰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도사리는 가운데 최일선에서 환자를 치료해야 할 인력은 점차 줄어들 전망이다. 필수의료 살리기를 위해서는 응급, 외상 분야 의료진 확보를 위한 특단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