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영상통화 3G
최고 5배 이상 빨라진 LTE, 고화질 동영상+ 대용량 데이터
최고 5배 이상 빨라진 LTE, 고화질 동영상+ 대용량 데이터
-
4세대 이동통신(4G)으로 인정받은 LTE는최근 [대세]라는 타이틀을 걸고한창 인기 몰이 중이다.여기에 LTE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LTE-A와 광대역LTE가 출시되면서이동통신 시장에서 LTE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하지만,현재 LTE가 아무리 잘 나간다 할지라도바로 이전 세대인 3G는 여전히 존재하며LTE의 부족한 점을 채워주고 있다.3G와 LTE의 차이는 단지 세대(G) 차이,나온 순서, 속도 차이 뿐일까?지금의 LTE가 오기까지 3G는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LTE는 어떻게 시작됐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
◆ 3G "사진, 동영상 다운로드의 시작"
[3세대 이동통신서비스(3G)]는
앞선 2G [음성+문자] 서비스에 이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영상통화] 전송을
가능하게 한 이동통신 방식이다.
3G의 가장 큰 특징은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지고
그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휴대폰에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하는
USIM을 사용하고
010으로 번호 통합이 시작됐다.
3G기술은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이 채택한
국제 표준 통신 기술 IMT-2000 규격을 따랐다.
2,000MHz 대역의 주파수를 따른다고 해서
2000이라는 명칭이 붙은 것이다.
그리고 통신 방식에 따라
<KT>와 <SK텔레콤>은 유럽식 WCMDA를
<LG유플러스>는 미국식 CDMA2000를
선택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잠깐, [CDMA]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cision multiple access)이라는 뜻으로이전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디지털 방식이다.아날로그 방식보다신호 수용용량이 10배 넘고통화품질이 향상됐다.데이터 전송속도 14.4~64Kbps.
WCDMA는 [Wideband]+CDMA로
유럽을 중심으로 발달,
CDMA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빨라졌다.
기본적으로 하향/상향 모두
최대 2Mbps 속도가 나왔다.
이후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기술이 적용되면서
이론상 다운로드 [국제전기통신 연합(ITU)]은 4G에 대해
저속 이동 시에는 1Gbps, 고속 이동 시에는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하지만 ITU가 LTE를 4G로 인정하면서
4G의 이동통신 규격 중 하나에 속하게 됐다.최대 14.4Mbps,
업로드 최대 5.8Mbps까지 속도가 향상됐다.
또한 WCDM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어
로밍이 용이하다.
이에 반해 <LG유플러스>가 선택한
CDMA2000 방식은
CDMA 방식을 업그레이드 시킨 것은 맞지만
엄밀히 따지면 3세대가 아닌 2.5세대였다.
3세대 특징인 USIM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CDMA EV-DO 리비전A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해 속도를 향상시켰지만
WCDMA만큼은 아니었다.
리비전A의 속도는
하향 3.1Mbps/상향 1.8Mbps 정도였다.
<LG텔레콤>의 남다른 선택은
이후 타 통신사 보다
빠르게 LTE에 올인하는 계기가 된다.
이렇듯, 데이터 통신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에게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식이
점점 더 익숙해 졌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에서
화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폰이 나오기 시작했고
터치폰계의 혁명이라 할 수 있는
아이폰이 국내에서 출시되면서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다.
때문에 무선인터넷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늘기 시작했다.
하지만 3G는
이전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빨라 졌지만
안정적으로 제공하는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 ▲ 2011년 7월, LTE상용화가 시작됐다.ⓒ연합뉴스
◆ LTE 시작, 고화질 동영상 다운 어렵지 않아!
LTE (Long Term Evolution, 롱 텀 에볼루션)는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장기적으로 발전시킨 기술이라는 뜻이다.
LTE는 3G 이동통신 규격인
WCDMA 후속 기술이다.
때문에 기존 3G 통신망과 연동이 쉬워
망 투자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세계 최초의 LTE는
2009년 12월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텔리아소네라>에서
상용화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7월,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이
처음으로 LTE 서비스를 상용화 했다.
3G 서비스를 하지 않았던
<LG유플러스>는 빠르게 LTE 시장에 몰입했고,
<KT>는 2G 서비스 종료 후
2011년 11월 부터 LTE를 시작했다.
LTE의 최대 전송속도는
다운로드 75Mbps/업로드 37.5Mbps로
3G보다 약 5배 정도 빨라졌다.
3G로 800MB 동영상을 다운로드 하는데
10여 분 걸리던 것이
LTE를 통해 약 2분 내외로
단축할 수 있을 만큼
속도가 빨라졌다.
덕분에 고화질 동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도 있고,
대용량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가능해졌다.
사실 LTE는 4세대 이동통신(4G)이 아니다.
<국제전기통신 연합(ITU)>은 4G에 대해
저속 이동 시에는 1Gbps,
고속 이동 시에는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LTE는 3.9G에 해당하지만
ITU가 LTE를 4G로 인정하면서
4G의 이동통신 규격 중 하나에 속하게 된 것이다.
이후 최고 LTE 속도의 2배를 자랑하는
다운로드 속도 150Mbps의 LTE-A가 출시됐다.
더불어 지난 8월
이통 3사의 주파수 경매 이후
광대역 LTE 서비스도 시작됐다.
하지만 이통 3사 모두
광대역LTE와 LTE-A 안정화를 위한
기지국 설치 진행 등에 대한 작업중으로
아직까지 LTE 만큼 안정적이지는 않다.
★광대역 LTE와 LTE-A가 더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