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
    ▲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

    10월말 현재 민간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편성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 소속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은 6일, 추경예산을 편성한 부처로 부터 제출받은 ‘추경예산 집행 및 일자리 창출 성과’를 분석한 결과, “민간 고용창출예산의 실적이 목표대비 11.4%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추경에 반영된 공공·민간 고용창출 예산은 총 2조 3,064억원이며 이중 81.5% 해당하는 1조 8,786억원의 예산이 민간부문에서 차지하고 있다.

    10월말까지 집행된 민간부문 예산은 1조 4,770억원으로 78.4%의 집행률을 보이고 있지만, 문제는 당초 성과목표 대비 실적이 미비하다는 것이다.

    청년 세 명을 채용 한 경우 한 명분의 임금 전액을 사업주에게 지원하는 민간부문 직접일자리 사업인 ‘중소기업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의 경우 당초 2,700명의 고용창출을 목표로 두었으나, 현재까지 채용된 인원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1,098명(40.7%)에 불과하다. 업훈련, 창업지원, 융자 등 간접일자리 부문도 성과가 높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다.

    각 부처들은 간접일자리의 경우 사업특성상 실제고용 인원을 확인하기 어렵다며 고용창출 효과 분석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지원하기로 한 목표인원에도 한참 부족한 실정이다.

    농림부의 ‘귀농귀촌활성화 지원’은 당초 450명에게 귀농귀촌교육을 지원하기로 하였지만 현재까지 수강인원 145명(32%)에 불과하고, 중소기업 등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여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의 실적도 당초 계획 5,000명의 절반인 2,167명에도 못 미쳤다.

    또한 유망 창업기업에 창업사업화 및 해외마케팅 자금을 지원을 하는 ‘민관 공동창업자 발굴 육성’사업도 당초 목표 100개사 대비 36%의 저조할 실적을 나타냈다.

    심지어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사업화 지원’, ‘중소기업 재기지원’ 및 ‘창업저변확대’ 사업의 경우 아직 지원 대상 선정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실적이 전무하다.

    김도읍 의원은 “정부가 아무리 재정지원을 늘리더라도 민간에서 이를 받아들일 여력이 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며, “결국 국민세금으로 일자리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형국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전했다.

    이어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일단 퍼주기식 사업이 여과없이 국회를 통과하지 않도록 재정원칙 및 사업효과를 검토해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철저히 심사에 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