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올해 대비 2.8% 증가한 1881억원 재정 투입 예정관련 산업 육성, 창업 지원,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진출 지원 등
  • ▲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수 추이 ⓒ보건복지부
    ▲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수 추이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오는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 4만2000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 지식재산 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논의·의결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일자리를 지난해 14만4000명에서 오는 2022년 18만600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4만2000개의 일자리를 더 창출하겠다는 얘기다.

    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 내년에 1881억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이는 올해 1828억원 대비 2.8% 증가한 규모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고용 유발 효과가 높은 양질의 고용집약 산업이다.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는 지난 2013년 11만3000명에서 지난해 14만4000명으로 연평균 5.6% 증가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이 98%를 차지해 동반성장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실제로 3700여개 제약·의료기기 기업 중 연매출 8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은 75개사(2%)에 불과하다.

    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바이오·헬스 산업 창업 활성화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미래 신산업 육성·해외시장 진출 지원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복지부는 혁신 신약·의료기기, 차세대 치료제 등 미래 유망산업의 밑거름이 될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를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정부의 보건의료 R&D 비중은 8.2%로 미국(25%), 영국(21%)의 3분의1 수준이다.

    바이오벤처가 기술 개발 이후 사업화 단계에서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를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미국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의 경우 메사추세츠 병원 중심으로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집결해 일자리 5만여 개를 창출한 데서 착안한 것이다.

    이 같은 지원을 통해 연간 벤처 창업을 지난 2015년 700개에서 오는 2022년 900개까지 늘릴 예정이다.

    복지부는 바이오·헬스에 특화된 인력 육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양성해 바이오·헬스 일자리의 수요-공급 미스매치를 극복하겠다는 것. 오는 2022년까지 1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게 목표다.

    마지막으로 복지부는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활용, 정밀의료, 재생의료 등 미래 신기술을 육성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의료 공공기관 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에 24억원을 투입한다. 정밀의료, 재생의료 등 새로운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확대하고, 제도적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바이오·헬스 산업 고용유발계수는 10억원당 16.9명으로 전 산업 평균 8.8명보다 약 2배 높다"며 "미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유망 산업인 바이오·헬스 산업 투자를 확대하고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