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8월 개정당사자 동의 없이 추가로 데이터 활용AI, IoT 등 차세대 ICT 산업 등 접목이통3사 빅데이터 기반 다양한 신사업 추진 기대감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이 오는 8월부터 시행되면서 본격적인 빅데이터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데이터 활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국내 통신사들의 다양한 신사업도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보인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 3법은 ▲개인정보 개념 명확화 ▲가명정보 및 개인정보의 이용범위 확대 ▲정보집합물 결합 근거 마련 ▲개인정보처리자의 책임성 강화 ▲개인정보보호 추진체계 효율화 등을 담고 있다.

    개인정보를 수집했던 목적과 상당한 관련성이 있을 경우 당사자 동의 없이 추가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국가에서 인정한 전문기관을 통해 다른 가명정보와 결합하거나 외부로 반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명정보는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변경해, 추가조치를 하지 않으면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정보다. 즉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를 할 경우 통신사와 금융사 등에서 개인의 가명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된 것이다.

    고객들의 데이터를 방대하고 보유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들은 데이터 3법 실행에 따라 다양한 신사업 비즈니스(BM) 발굴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5세대 이동통신을 금융과 의료 등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AI) 기반의 네트워크를 고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

    실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이통사는 로밍 데이터를 정부에 제공해 입국자들의 이동경로 추적 및 감염 경로를 파악하는 데 일조했다. 유동량 데이터를 토대로 지역의 인구 유입·유출 현황은 물론, 도시 정책 수립에도 활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3년부터 빅데이터 역량을 축적해 왔다. 국민 네비게이션으로 불리는 'T맵'은 차량·도로 정보, 교통현황 등을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해 월 125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 중이다. 또한 통계청과 모바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구분석을 통해 유동인구 고도화는 물론, 분석의 정밀도를 높여 나가는 중이다.

    KT는 2016년부터 로밍 정보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GEPP)'를 운영해 왔다. GEPP를 통해 위험 지역을 방문한 국민은 감염병 정보와 예방법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사태 당시에도 KT의 로밍 데이터를 활용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전국 85개시 등 인구밀집지역에 약 7만 5000개의 5G 기지국을 확보했다. 유동인구가 많이 몰리는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기지국 커버리지를 넓혀 데이터를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여기에 계절적 요인에 따른 테마지역인 해수욕장과 리조트, 스키장 등까지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해 이를 활용하는 신사업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빅데이터는 AI, IoT, 무인자동차 등 차세대 ICT 산업들과 밀접히 연계돼 있다"면서 "통신사들은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해 이들 산업과 결합한 다양한 신산업들을 모색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