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2% 찬성12일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 시 파업권 확보노조 "납득할 성과 분배·보상 달라"지난해 10월 '정의선 체제' 후 첫 파업 초읽기
  •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결국 파업 깃발을 꺼내들었다. 

    7일 조합원 4만8599명 가운데 4만3117명이 참여한 파업 찬반투표에서는 찬성률 83.2%가 나왔다.

    지난달 3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신청한 노동쟁의 조정결과가 나오는 12일 이후 합법적인 파업을 할 수 있다.

    노조는 당장 8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꾸려 실제 파업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들어가면 3년만에 무분규 타결은 깨지게 된다.

    2019년엔 일본과의 무역분쟁, 지난해엔 코로나 여파로 노사 양측은 파업없이 임금과 단체협약을 타결지은 바 있다.

    파업 먹구름이 몰려오면서 정의선 회장의 '소통 리더십'도 시험대에 올랐다.

    올해 역시 무분규 가능성이 없진 않지만 임금 9만9000원(정기·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성과금 30% 지급, 정년연장(최장 만 64세), 국내 공장 일자리 유지 등을 요구하는 노조와 접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파업 가결 직후 노조는  "파국을 피하고 싶으면 보따리를 풀어야 할 것"이라고 압박에 나섰다.

    현대차 노사는 그동안 임금 및 단체협약을 위해 13차례 교섭을 가졌지만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사측은 지난달 30일 기본급 월 5만원 인상, 성과급 100%+300만원, 격려금 200만원 등을 제시했다.

    노조는 곧바로 “교섭을 이어가려면 진전된 안을 가져오라”며 협상장을 박차고 나갔다. 

    노조가 제안한 ‘산업전환에 따른 미래협약’도 만만치 않다. 일자리 유지를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한다는 명분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고용인력 감소 반대에 닿아 있다.

    현대차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임단협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내부로부터 제기되는 잇단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불거진 ‘성과급 논란’은 진행형이다. 정 회장이 직접 나서 “성과급 기준을 선진화하겠다”고 밝혔지만 내부 잡음은 여전하다.

    코로나 여파와 반도체 난을 딛고 반등 기지개를 켰던 실적도 노무리스크가 확산될 경우 다시 가라앉을 수 있다.

    생산직 외 사무연구직 중심의 MZ노조도 기존 노조와 결이 다르긴 하지만 성과금 보상에는 더욱 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정년 연장 법제화 반대’, ‘MZ세대에 대한 횡포를 막아 달라’, ‘단체 급식 부당 지원을 조사해달라’는 글들이 잇따라 회사측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인력 이탈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현대차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3081명이 회사를 옮겨 이직률은 4.4%에 달했다. 2018년 3.6%, 2019년 3.8%에 이어 3년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년 새 젊은 직원의 경우 연봉이 제자리에 가깝거나 줄어들고 있다. 성과급은 2014년 450%, 2016년 350%, 2018년 250%, 지난해 150%로 감소했다. 

    격려금은 2014년 870만원, 2016년 330만원, 2018년 280만원, 지난해 120만원으로 줄었다.

    평균연봉이 줄면서 한때 '억대 연봉자 파업'이라는 꼬리표가 사라진지 한참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노조와 20~30대 MZ노조까지 모두 안고 가야 하는 이중적 상황"이라며 "미래차 대비, 잉여인력 조정, 정년연장 등 난제가 수둑룩해 어느 해 보다 힘겨운 노사협상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