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부터 정부 지분 '0'매출·영업익 수직 상승… 미래성장동력 탄탄1대~8대 회장 연임 임기 못채워최정우 회장 또 국감에… 10대 그룹 중 유일
  • '매출 11조→72조, 순이익 8193억→6조4000억'  

    다음달 4일 민영화 21년을 맞는 포스코의 성적표다. 

    일단 외형은 괄목한만한 성장을 일궈냈다.

    올들어서도 코로나 여파 속에서도 2, 3분기 연속 영업익이 2조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非철강부문의 분기 영업익도 6000억원에 달한다.

    2차전지 등 포트폴리오를 다변화를 꾀하면서 미래성장 동력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쉬움을 사는 것은 외풍이다.

    늘 주인 없는 '국민의 기업'이란 프레임에 갇혀 외풍에 시달린다.

    정부 지분은 하나도 없지만 정권이 바뀔때마다 회장이 교체된다.

    '회장 연임→새 정부 출범→중도 퇴진'이 공식처럼 이어져 오고 있다. 앞선 포스코 회장 중 연임 후 임기를 제대로 마친 경우는 단 한 명도 없다. 

    초대 박태준 회장은 1968년부터 24년간 장기재임 후 1992년 김영삼 정부와의 불화로 퇴진했다.

    이후 2대 황경로 회장은 6개월, 3대 정명식 회장은 1년으로 단명했다. 4대 김만제 회장도 김대중 정부 출범 후 사퇴했다.  
  • 정부가 포스코 지분을 전량 매각한 2000년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5대 유상부 회장은 노무현 정부 들어 임기를 못 채우고 물러났다. 6대 이구택 회장은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자리를 내놓았고, 7대 정준양 회장은 박근혜 정부 시절 사퇴했다. 8대 권오준 회장 역시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년 만에 특별한 이유 없이 자리를 비워야 했다.

    9대 회장에 오른 현 최정우 회장도 지난 3월 연임 과정에서도 한참을 시달려야 했다.

    2024년 3월까지가 임기지만 내년 대선을 고려하면 가늠이 쉽지 않다.

    포스코 안팎에서는 내달 국감을 주목한다.

    10대 그룹 총수 대부분이 증인에서 빠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최 회장은 두차례나 증인석에 서야 한다.

    산자위와 중기벤처위 출석이 확정됐다.

    같이 증인 신청 대상에 올랐다가 빠진 정의선, 최태원, 신동빈, 김승연, 허태수 회장 등과 사뭇 대비된다.

    앞서 최 회장은 연초 산재 청문회에 출석해 호된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정치권에서는 포스코를 '국민의 기업'이라고 부르지만 유독 가혹한 모습을 보인다"면서 "겉으론 높게 평가하는 것 같아도 뒤집어보면 주주 보다 의원들의 말을 잘 들으라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민영화 20년을 넘긴 포스코의 홀로서기는 여전히 버거운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