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전략 시장서 지속가능 성장 모멘텀 마련'시장-고객' 이해 기반 '승부사' 면모 발휘'이기는 성장' 위해 핵심 역량 강화, 미래 준비 집중"고객가치 높이는 디지털전환, 지속가능한 발전 초석"
  • ▲ 조주완 LG전자 사장. ⓒLG전자
    ▲ 조주완 LG전자 사장. ⓒLG전자
    LG전자 신임 최고경영자(CEO)에 조주완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사장으로 승진하며 선임됐다. 조주완 사장은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이끌어왔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전장·로봇 등 신사업 확장에 드라이브를 걸고, '디지털전환'에 초점을 두고 있는 LG전자에 적임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전날 이사회를 열고 2022년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을 실시하고 조주완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키고 CEO에 선임했다. 조 사장은 내년 1월7일에 열리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조 사장은 지난 1987년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에 입사해 해외 주요 시장을 거치며 글로벌 감각과 사업전략 역량을 쌓았다. 1996년 독일 뒤셀도르프 지사에서 근무하며 해외사업 역량을 쌓기 시작했으며 이후 캐나다법인장과 호주법인장을 맡았다.

    미국법인장으로 부임한 2014년부터 3년간 미국 시장 매출은 12% 이상 늘었다. 프리미엄 제품 판매와 거래선 확대가 주효했다. 조 사장은 미국 시장에서 거둔 성과를 인정받아 2017년부터는 미국과 캐나다를 관할하는 북미지역대표를 겸임했다.

    이처럼 재직 기간인 34년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근무하며 다양한 시장을 경험하고 고객 인사이트를 축적해온 '글로벌 사업가'로 꼽힌다. 또 시장과 고객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디지털전환을 기반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이끌어왔다.

    가정용에어컨(RAC) 사업부장 당시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인버터 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제품을 앞세워 2013년에만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뤄내기도 했다.

    조 사장은 다양한 시장 경험과 고객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사업의 변곡점을 정확하게 포착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승부사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일례로 북미지역대표 재임 당시 글로벌 시장에 본격화되는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선제 대응하고 북미 가전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총 3억6000만달러를 투자해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들어선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공장 설립을 이끌었다. 테네시 세탁기공장은 연면적 7만 7000㎡ 규모로 ▲부품 제조 ▲모듈 조립 ▲제품 생산에 이르는 원스톱 통합생산체계를 갖췄다. 신공장은 북미 가전시장 수요에 대응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해내고 있다.

    실제 LG 세탁기는 미국 최고 권위 소비자매체가 실시하는 성능평가에서도 경쟁제품들을 압도하고 있다. 드럼세탁기와 통돌이세탁기는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LG전자 제품이다. 특히 LG 세탁기는 미국 내 900달러 이상 프리미엄 드럼세탁기 시장에서 최고 입지를 굳히고 있다.

    업계에서는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선전에 힘입어 LG전자 생활가전 사업이 연간 매출에서 올해 처음으로 미국 월풀을 제치고 1위 입지를 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 생활가전은 올 3분기 누적 매출 20조5848억원을 기록, 월풀을 2조원 이상 따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조 사장은 지난해 조직개편에서 신설된 CSO를 맡으며 LG전자의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는 한편, 주력사업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준비에 집중해왔다. 사업에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메가트렌드를 조기에 포착하고 전략적 사고를 통해 과감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회사의 지향점인 '이기는 성장과 성공하는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특히 조 사장은 사업본부장을 거치지 않고 LG전자 CEO에 오른 이례적인 인사로 평가받는다. 지난해와 올해 CSO 역임 당시 MC 사업본부를 정리하는 등 LG전자의 사업구조 재편을 이끈 점을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LG전자의 MC사업본부는 롤러블폰 출시를 앞두고 있던 지난 4월 과감히 스마트폰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23분기 연속 적자가 이어진 스마트폰 사업을 포기함으로써 실적 부담을 털어내고 사업을 재빨리 재편할 수 있었던 계기로 평가받는다.

    이후 세계 3위 자동차부품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손잡고 전기차 파워트레인 분야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설립한 것은 미래사업의 본질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의 포텐셜을 높이기 위한 대표 사례다. LG전자는 자동차의 전동화 트렌드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신사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누릴 수 있는 대량생산 체제를 조기에 갖추게 돼 사업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높이게 됐다.

    LG전자는 LG마그나 출범을 기점으로 전장 사업을 ▲VS사업본부(인포테인먼트) ▲ZKW(램프) ▲LG마그나(전기차 파워트레인) 등 3개 포트폴리오로 나눠 육성하고 있다.

    LG전자의 주력사업 가운데 하나인 TV 사업은 하드웨어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서비스 역량을 더하며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플랫폼까지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고 있다. LG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광고·콘텐츠 데이터 분석 전문업체 알폰소를 인수했으며, 올 초부터는 스마트 TV 운영체제인 웹(web)OS 플랫폼도 세계 20여 TV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또 LG전자는 분리막 사업을 LG화학으로 넘기는 반면, 미래먹거리로 낙점한 전장과 로봇 사업에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전장 사이버보안 기업인 사이벨럼을 인수하고, 미국의 전장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인 소나투스에 40억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다. 미래사업의 또 다른 축인 로봇도 각종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사업 확장의 시동을 걸면서 구광모 LG 회장이 강조하고 있는 '선택과 집중' 전략 기조 하에서 사업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 회장은 취임 이후 고객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회사의 자원과 운영방식, 사업모델 등을 혁신적으로 바꿔나가겠다는 것이다.

    조 사장은 LG전자가 나아가야 할 디지털전환의 방향과 목표를 'DX for CX(Digital Transformation for Customer eXperience)'에 맞추고 있다.

    조 사장은 디지털전환이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LG전자 제품과 서비스를 한 번 경험하고 나면 경험하지 않았던 때로 다시 돌아가기 힘든 '락인(Lock-in)' 효과까지 만든다고 생각한다.

    LG전자는 큰 틀에서 제품 중심의 사업구조를 유지하면서 고객을 이해하고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해 나가고 있다. 시장에 판매하는 다양한 하드웨어에 콘텐츠와 서비스를 연계하거나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LG전자가 추진하는 디지털전환의 대표적 사례다.

    LG전자는 지난 7월 디지털전환 가속화를 위해 전사 디지털 총괄조직인 CDO, 데이터 기반의 LG 팬덤을 만들기 위한 플랫폼사업센터를 각각 신설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