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간 55~70세 3664명 조사집값 10% 상승시 경제활동 1.8%p↓은퇴확률 1.3%p ↑"가계가 특정 자산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아야"
  • ▲ 네이버 카페 '집값정상화시민행동'이 운영한 집값 정상화 촉구 버스ⓒ뉴데일리 DB
    ▲ 네이버 카페 '집값정상화시민행동'이 운영한 집값 정상화 촉구 버스ⓒ뉴데일리 DB
    보유주택의 자산가치가 상승할수록 고령자의 노동공급은 축소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은행이 2006년부터 2018년까지 13년간 55~70세 고령자 36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보유주택 자산가치가 10% 상승한 경우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근로시간은 각각 1.8%p, 6.1% 하락했다. 또 은퇴확률도 1.3%p 상승하는 등 노동공급이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공급 감소폭은 남성이 여성보다 컸고, 자영업자보다 임금근로자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 실질은퇴연령인 72세에 가까워질수록 주택 자산가치 변화는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졌다. 특히 주택가격 상승세가 예상한 수준을 상회할 경우 경제활동참가율과 은퇴확율은 더 크게 높아졌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택가격 상승이 고령자 노동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이 70%에 달하고 고령 가구로 갈수록 주택소유율도 높다. 또 한국은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실질은퇴연령이 OECD 국가 중에 매우 높아 지나친 주택가격 상승을 경계해야 한다고 봤다.

    한국은행은 "부동산 경기 안정, 가계 자산 다양성 확대 등을 통해 가계가 특정 자산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