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3.5% 의견 가장 많아""금융안정과 성장둔화 고려""목표물가 2% 돼야 인하 논의"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은행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융통화위원회 내에서 3.50%의 의견이 가장 많다고 밝혔다. 또 내년도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많으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논의는 '시기 상조'라고 했다. 

    이 총재는 2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금융통화위원들의 예상 최종금리 수준은 3.5%를 중심으로 분포돼 있다"면서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이날 한은 금통위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기존 3.0%에서 3.25%로 인상했다.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인 중 3인은 3.5%를, 2인은 3.75%를, 1인은 현 수준인 3.25%를 각각 최종 금리 수준으로 제시했다. 이 총재를 제외한 위원 과반이 3.5%를 최종 금리 수준으로 제시한 셈이다. 이 총재는 자신이 최종 금리 수준을 밝히지 않은 데 대해서는 "의장은 금통위원 의견 수렴이 먼저라 제 의견을 얘기하지 않고 결정이 필요할 때 의견을 얘기할 것"이라 했다. 

    그는 "3.5%에 대다수 의견이 제시됐는데 지난 10월 3.5%로 봤을 때와 비교해 어디에 주안점을 뒀는지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며 "10월엔 최종금리를 고려할 때 외환시장 변동성이 컸기 때문에 대외 요인에 더 많은 중점을 뒀다으나 이번엔 트레이드오프 상황서 금융안정과 성장 둔화 등을 더 많이 고려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이어 "아직 물가가 5%이고 (높은 물가의) 지속성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미 연준(Fed)이 기준금리 속도을 늦출 것을 시사했지만 얼마나 갈지에 따라 외환시장이 다시 변할 가능성이 있어 양쪽 견해가 다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종금리에 도달한 뒤 이 수준을 얼마나 유지할 지, 또 금리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고 했다. 

    그는 "최종금리 수준에 도달한 이후에도 금리를 낮추긴 위해선 물가가 목표물가인 2%에 충분히 수렴하고 있다는 증거를 확신한 뒤에야 금리 인하에 관한 논의를 할 수 있다"면서 "금리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관해서는 "금리가 과도하게 벌어지면 바람직하지 않지만 국내 요인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나라 금리 결정에 연준이 우선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과도하다"면서 "(한은 금통위가)미 연준의 금리결정에 기계적으로 따라간다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심해지면 외환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며 "올해는 미 연준의 결정이 외환시장에 영향이 워낙 컸으나 최근 금리격차가 벌어졌으나 외환시장이 안정됐다"고 밝혔다. 또 미국과 금리격차는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지, 전부는 아니라고 거듭 밝혔다. 

    이 총재는 이번 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물가와 단기 금융시장의 어려움을 들었다. 

    이 총재는 "11월,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 수준에서 상당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으나 지난해 한파 등 이상기후로 인해 물가가 크게 오른 기저효과로 내년 1월에는 다시 오름세를 보일 수 있다"면서 "높은 수준의 물가가 이어진다면 물가 중심의 정책을 이어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 총재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관련 필요시 추가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레고랜드 사태서 촉발된 단기금융시장 경색에 따라 기업어음(CP)금리가 연일 최고점을 기록하는 등 어려움이 잇따르자 한은이 추가등판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그는 "지난달 예상치않게 부동산 관련해 금융시장에 불필요하고 과도한 신뢰상실이 생기며 시장금리가 급격하게 올라 당황스러웠다"면서 "한은 입장에서는 단기금융시장의 정상화가 중요 업무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내년 성장률 전망은 기존 2.1%에서 1.7%로 0.4%p 하향 조정하고 소비자물가 전망은 3.7%에서 3.6%로 소폭 낮췄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재는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보수적으로 본 수치로 상방기 성장률은 1.3%로 낮아지고 하반기는 2.1%로 돌아올 것으로 외환위기처럼 큰일이 생기는 것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