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양가 규제 해제지역 HUG 심사 안 받아둔촌주공 등 계약률 상승…전매 완화에 '떴다방' 등장건설업계, 사업계획 수립·변경 착수… 청약 일정 앞당겨
  • ▲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 현장. 221201 ⓒ정상윤 기자
    ▲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 현장. 221201 ⓒ정상윤 기자
    국토교통부가 부동산 규제를 대폭 완화하면서 분양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강동구 둔촌 주공, 성북구 장위자이 레디언트 등 대규모 단지들의 계약률이 오르고, 건설사들이나 정비사업 조합들도 신규 분양 계획 수립을 서두르는 등 발빠른 변화가 감지된다.

    다만 분양가 상한제 적용은 물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에서도 벗어나게 되면서 전방위적인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8일 HUG에 따르면 HUG는 이번 정부의 규제지역 해제에 따라 지난 5일 공사 홈페이지에 '고분양가 관리지역'을 강남·서초·송파·용산구 4곳만 남긴다고 공지했다.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국에서 분양가 상한제가 배제되고 HUG의 분양가 심사도 받지 않게 됐다.
     
    서울 분양예정물량 가운데 눈길을 끄는 곳은 송파구 잠실진주 재건축과 ▲방배5구역 ▲방배6구역(래미안 원페를라) ▲신반포15차(래미안 원펜타스) ▲신반포4지구(메이플자이) ▲청담삼익(청담르엘) 등이며 강북권에선 동대문구 이문1구역(이문아이파크자이)을 꼽을 수 있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원자잿값 상승으로 시공사와 공사비를 놓고 갈등을 빚어온 조합들이 분양가를 올려받을 수 있게 되면서 공사비 협의를 재개하고 일반 분양에도 나설 조짐"이라며 "특히 이번에 HUG 통제까지 벗어나게 되면서 조합 입장에선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규제지역 해제의 최대 수혜지역은 둔촌 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을 비롯해 최근 분양에 들어간 신규 분양단지들로, 일제히 계약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둔촌 주공은 지난달 분양에서 평균 3.7대 1의 청약률에 그치며 흥행에 실패해 계약률 전망도 어두웠다. 그러나 지난주 규제 해제가 예고된 뒤 분위기가 달라져 인근 중개업소와 건설사 등에 계약을 망설이던 당첨자들의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실계약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지난달 계약을 앞두고 사전에 진행한 당첨자 서류 접수 건수 등에 비춰 둔촌 주공의 초기 계약률을 당초 40%대로 점쳤으나, 이달 17일까지 지정계약기간 내 계약률만 70∼80%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둔촌 주공 현장 인근에는 분양권 전매를 중개하려는 '떴다방'까지 등장했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조합들 역시 분양을 미룰 명분이 없어진 만큼 본격적인 공급에 착수에 나섰다.

    GS건설은 서울 양평동의 707가구 규모 재개발 아파트인 '영등포 자이 디그니티'의 다음달 일반분양을 확정했다. 이를 위한 홍보대행사와 분양대행업체 섭외작업도 서두르고 있다.

    삼성물산은 동대문구 이문1구역을 재개발한 3069가구 규모 '래미안 라그란데'를 3월 분양하기로 확정했다. 2020년부터 2년째 분양이 미뤄졌으나 지난해 말 조합원 분양이 100% 완료되는 등 갈등이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이사는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분양을 미뤄도 각종 규제가 풀릴 때까지 기다린다는 명분이 있었으나 이제는 분양을 미룰수록 분담금만 높아져 늦출 이유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번 조치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건설회사의 분양 마케팅 담당은 "공사비 부담이 커진 가운데 상한제도 사라진만큼 전반적으로 분양가는 오를 수밖에 없다"며 "자금력이 있는 건설·시행사 사업의 경우 고분양가 정책에 따라 분양가를 대거 높이고, 장기 판매 전략으로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고분양가로 청약 과열이 빚어질 가능성도 작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다만 고금리에 집값 하락세가 계속되면 미분양 우려로 인해 분양가를 마구 올리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당장 분양여건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연 7∼8%에 달하는 대출금리 때문에 완판까지 가능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입지여건, 분양가 등에 따라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