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효자?… 올 무역적자 4억7천만弗배터리 소재 중국산 비중 95%… 中 의존도 심각"국내 산업 확대 불구 정작 실익은 중국이 챙겨"
  • ▲ ⓒLG화학
    ▲ ⓒLG화학
    국내 배터리 산업이 수출 효자라는 인식과 달리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및 주요 소재 대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와 생산하다 보니 실익이 크지 않은 탓이다. 특히 대부분은 중국산 제품 의존도가 심해 대중 무역적자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열심히 벌어들인 '알맹이'를 소재를 들여온 대가로 고스란히 중국에 바치고 있는 셈이다.

    5일 관세청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리튬이온배터리 품목의 누적 수출액은 25억191만달러, 수입액은 29억7800만달러로 누적 적자액이 4억76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는 전기차용의 수출액은 9억9416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수입액은 무려 23억20만 달러를 보였다. ESS(에너지 저장장치용)의 수출액은 7억2727만 달러를, 수입액은 3억5995만 달러를 보였다.

    특히 중국산 제품의 수입액은 28억2937만 달러를 기록하며 95% 비중을 기록했다. 사실상 국내에 들어오는 배터리 제품 대부분이 중국산인 것이다. 

    배터리 소재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배터리 양극재의 전 단계 물질인 전구체의 올해 4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985만달러, 수입액은 15억3408만달러로 15억2423만달러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전구체 수입액의 경우 지난 2020년부터 매년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 2020년 수입액은 14억6532만 달러에서 ▲2021년 27억4905만 달러 ▲2022년 40억3014만 달러로 늘었다. 중국산 비중도 80%대에서 96%까지 크게 증가했다. 

    전구체는 양극재를 만들기 위한 핵심재료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의 경우 원가의 43%는 양극재이지만 양극재 재료비의 70~80%는 전구체가 차지하고 있다. 양극재는 음극재와 함께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맡으면서 배터리의 종류 및 성능을 좌우하는데, 전구체에 따라 품질이 결정될 만큼 중요도가 높다.  

    국내 배터리 업계의 경우 적극적인 협력 및 투자를 통해 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등 핵심소재의 내재화율 제고에 힘쓰고 있지만 그동안 전구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덜했다. 기술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지만 인건비, 가격 등을 고려하면 전구체에 대한 투자 매력도는 떨어진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그러다 보니 국내 배터리 업계는 전구체에 대한 수입에 의존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가 최근 5년간 급속도로 성장하면 수입량도 급격히 늘었는데 대부분이 중국산이다. 국내의 경우 전구체 수요 대비 국내 생산량이 30% 정도로, 부족분의 90%가량을 중국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산 제품이 밀려오고 있는 이유는 정부가 품목의 관세를 대폭 낮추는 할당관세까지 적용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21년 초 할당관세 적용품목 60개를 발표했다. 이 가운데 신산업 육성 차원에서 이차전지 분야의 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 소재 등 11개 품목이 신규로 지정됐다. 여기에는 전구체도 포함됐는데 기존 8% 관세가 사라졌다. 

    산업부는 산업계의 경영부담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업계는 중국산 제품 수입만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고 지적한다.

    그나마 최근 국내 배터리 업계 중심으로 배터리 소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만큼 중국산 비중도 첨차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전구체 시장에 진출했다. 양사는 2028년까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전북 군산 새만금단지에 연산 10만t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SK온은 에코프로, 거린메이와 군산 새만금산단에 1조2100억원을 투자해 2024년 가동을 목표로 전구체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포스코퓨처엠도 포항에 2027년까지 전구체와 고순도 니켈 원료 생산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규제 및 국내 배터리 산업을 위해서도 중국산 제품 의존도를 줄일 필요성이 있다"며 "국내 배터리 산업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실익은 중국이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