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심뇌센터 14곳→ 30곳 확대 필수2차 종합계획 자체는 '긍정적'… 실행력 담보할 재정계획 미흡지쳐가는 의료인력·기피과 전략… 지금 못 고치면 향후 10년 후엔 붕괴
  • ▲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분당서울대병원
    ▲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분당서울대병원
    심뇌혈관질환 대응을 위해 국가적 전략이 모색되고 있지만 재정계획이 미흡하다는 진단이다. 

    환자가 빠른 시간 내 병원에 들어가는 골든타임이 중요한 것처럼 대한민국 심뇌혈관 관리체계 역시 정상궤도 진입이 시급한 시점이라 요식적 지원책이 아닌 대폭 상향된 예산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6일 본보를 통해 배희준 대한뇌종중학회 이사장(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은 "정부가 그려놓은 심뇌혈관 대응 청사진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예산이 부족한 실정이며 그간 그랬듯 실행력이 담보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라고 밝혔다. 

    연간 100억원 수준으로 잡힌 재정계획을 탈피하는 것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심뇌혈관 관리체계의 골든타임을 향후 5년으로 본다면 전향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최소 10배 이상의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소 연간 1000억원의 투입돼야 전국 14곳의 권역심뇌혈관센터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기전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인프라 머니로 전액 배정돼 치료과정의 효율성을 올리자는 취지다.

    그는 "현재 14곳의 권역심뇌혈관센터를 30곳으로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인데 이를 위해서라도 더 많은 지원책이 발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만약 환자 사망률을 20% 낮추려면 연간 2000억원 수준으로 예산이 책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전날 2차 심뇌혈관관리 종합계획 공청회에서 기존 예방과 재활 중심의 1차 계획의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고 심근경색, 뇌졸중 등 골든타임이 있는 급성기 치료에 중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으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전문치료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권역센터를 보완할 심뇌혈관질환 인적네트워크 신규 도입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 50대 교수의 당직… '인력난' 해결도 시급 

    초고령사회의 진입과 만성 복합질환자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심뇌혈관 인프라 구축은 국민 건강권 확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여겨진다. 지금은 어떻게든 버티고 있지만 5년 후, 10년 후를 상상하면 암흑과도 같다. 이 분야를 택할 미래세대가 보이지 않는다. 

    결국 이러한 문제로 올해부터 향후 5년이 대한민국 심뇌혈관 대응의 골든타임이라는 분석이 나온 것이다. 정부가 준비 중인 2차 계획의 중요성의 강조되는 이유다. 

    배 이사장은 "소위 돈도 안 되는 분야이고 50대의 교수들이 당직을 서는 상황"이라며 "일도 힘들고 여러 조건이 타 진료과에 비해 열악하다 보니 인력 유출은 물론 이를 선택하려는 젊은 세대가 줄어들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민 5명 중 1명은 심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하며 점차 위험요인은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인데 희생만을 강요받다보니 기피 현상이 가속화된 상황"이라며 "당장 수가를 비롯한 정책적 지원이 없다면 10년 후엔 붕괴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례로 올초 뇌졸중학회 자료에 따르면 신경과 전문의 시험합격자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에 지원했고 권역심뇌센터 14개 중 1개 센터만 전임의가 근무 중이다.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 

    배 이사장은 "정부도 기존의 대책에서 벗어나 다각적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며 2차 계획도 잘 짜졌지만 이를 잘 시행하고 또 인력을 확보하는 유인책이 중요한 만큼 전면적 재정계획에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