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확산… 발생·검출 농장 중 산란계 '절반 이상'달걀 1판 가격 지난달보다 13.9% 상승AI 확산 '불안심리'에 설 앞둔 유통업계 물량확보 나선 탓과일값도 '급등'… 사과 등 수입 검토 없어, 정부할인에 기댈 수밖에
  • ▲ 설 연휴를 앞두고 대형마트 직원이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뉴데일리DB
    ▲ 설 연휴를 앞두고 대형마트 직원이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뉴데일리DB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기상 재해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농축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물가 잡기에 나설 전망이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고병원성 AI 발생·검출 가금농장은 총 29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산란계 농장은 15곳이다.

    농식품부가 밝힌 AI로 인한 산란계 살처분 마릿수는 전날까지 267만 마리다. 일각에서는 최근 달걀 가격 급등 원인으로 AI 확산을 꼽는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를 보면 11일 현재 달걀 1판(특란) 소비자 가격은 7158원이다. 이는 전달 6283원보다 13.9% 오른 가격이다.

    농식품부는 AI 확산이 달걀 가격 상승의 주원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다. 농식품부는 정부 정책브리핑 '사실은 이렇습니다'를 통해 "AI 발생으로 인한 산란계 살처분 마릿수는 전체 사육 마릿수의 3.5% 수준"이라며 "달걀 가격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달 초 달걀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지난해 말 달걀 할인행사가 종료된 것과 설 성수기 할인행사를 앞두고 유통업계가 물량확보에 나서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설 성수기를 앞두고 달걀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농축산물 할인 지원 △농협을 통한 납품단가 할인 지원 △산란계협회와 협업해 달걀 공급 확대를 위한 연장 생산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달걀 가격 급등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산 달걀 110만여 개를 이달부터 대형마트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대한산란계협회 관계자는 "현재 살처분된 마릿수를 보면 수급불안을 초래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실제로 현재 오른 것은 소비자 가격이지 산지 가격은 오히려 지난주보다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달걀 가격 상승은 AI 확산 우려에 따른 '불안 심리'라는 분석을 내놨다.

    그는 "이번 고병원성 AI의 경우 전파가 심한 타입이기 때문에 유통업계에서 걱정하는 부분이 좀 더 큰 것 같다"며 "유통 쪽에서 수급 부족이 현실화 됐을 때를 대비해 재고를 확보하다 보니 발생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 ▲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달걀. ⓒ뉴데일리DB
    ▲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달걀. ⓒ뉴데일리DB
    아울러 농식품부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기 위해 설 성수품과 농축산물 할인 지원책도 펼친다. 올해 정부 할인 지원 예산은 400억 원으로 지난해 263억 원보다 52.0% 늘어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당국은 전날부터 대형마트 등에서 사과·배 등 설 성수품 구입 시 30% 할인을 지원 중"이라며 "유통업계 협력을 통해 소비자는 최대 60% 할인 혜택을 볼 수 있다"고 했다.

    최근 사과, 배 등의 가격은 지난해 기상이변으로 산지 생산량이 줄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사과 생산량은 전년대비 30.3% 감소했고 배와 단감도 각각 26.8%, 31.9%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9일 기준 사과 소비자 가격은 1년 전보다 31.0% 올랐다. 배·단감은 각각 27.2%, 34.1% 상승했다.

    정부는 이달 초 발표한 '2024 경제정책방향'에서도 과일 가격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농축산물 할인 지원과 에너지바우처 등 물가관리·대응 예산에 10조8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수입과일 21종에 대한 관세 면제 또는 인하를 추진해 가격 상승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이런 내용은 기존 수입 품목에 한정돼 있어 사과, 배 등 수입 대상이 아닌 과일은 할인 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과는 그동안 수입 협상이 타결된 국가가 없어 수입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며 "경제정책방향에서 과일 수입과 관련한 내용은 기존에 들여오던 품목에 대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사과뿐 아니라 다른 품목도 상대국에서 허용 요청이 오면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설 수요가 높은 사과나 배 등 과일의 물가를 잡기 위해 절차를 빨리 진행한다든지 추가로 검토를 한다든지 하는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