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신평·한신평, 등급전망 ‘부정적’조정"공개매수에 따른 재무건전성 악화 등 요인"한앤코 대주주 후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증가
  • ▲ ⓒ쌍용C&E
    ▲ ⓒ쌍용C&E
    쌍용C&E의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이 높아졌다. 공개매수에 따른 재무건전성 악화 등이 악재로 작용하면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쌍용C&E의 무보증 선순위 신용등급 전망을 일제히 ‘A(안정적)’에서 ‘A(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한국기업평가가 지난 2월 쌍용C&E의 재무안정성 부담을 이유로 부정적 검토 대상에 등록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두 신평사들은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가 상장폐지를 목적으로 진행한 쌍용C&E 공개매수가 재무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한앤코는 지난 6일까지 쌍용C&E의 자진 상장폐지를 위해 잔여 지분 20.1%(1억25만4756주)에 대한 공개매수에 나선 바 있다. 이번 공개매수를 통해 쌍용C&E의 자진 상장폐지를 추진하겠다는 게 한앤코의 방침이다. 단기적인 주주 가치 제고 압박에서 벗어나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취지에서다.

    공개매수 결과 한앤코는 쌍용C&E의 기명식 보통주식 6551만4주를 확보했다. 당초 목표치였던 주식 1억25만4756주의 65.3%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를 통해 한앤코는 쌍용C&E 주식 보유비율을 93.03%까지 끌어올렸다. 상기 과정에서 쌍용C&E는 자기주식 매입을 위해 약 3350억원의 자금을 투입했고, 1800억원의 추가 단기차입도 시행했다. 

    문제는 생산혁신공사 및 환경기업 투자, 대규모 배당지출 등에 따라 쌍용C&E의 차입금 부담이 심화하던 상황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쌍용레미콘 지분과 관련 토지 매각 등을 통해 순차입금을 소폭 줄인 것도 무용지물이 됐다. 

    쌍용C&E의 부채비율은 2021년 115.3%에서 2022년 143.2%, 지난해 130.5% 수준에 머물렀으나 공개매수에 따른 추가 차입금 조달, 자기자본 감소의 영향으로 지난 1월 180.1%까지 상승했다. 차입금의존도도 작년 말 39.3%에서 연초 46.2%로 크게 뛰었다. 최대주주가 한앤컴퍼니로 바뀐 2016년 말 부채비율 77.3%, 차입금의존도 22.42%였던 것을 감안하면 사모펀드 가 대주주로 올라선 이후 재무안정성이 모두 악화된 셈이다.

    공개매수에 따른 자금부담에 따라 쌍용C&E는 올해 1분기는 배당을 실시하지 않겠다고 밝힌 상태다. 2017년 이후 매 분기 이어오던 분기배당을 8년만에 중지한 것. 외사는 2분기부터 재무상황 등을 고려해 배당을 재결정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쌍용C&E의 신용도 보존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당정책에 따라 재무부담이 추가 상승할수 있다는 점에서다. 사모펀드인 한앤코의 특수성과 부담 중인 채무·금융 비용을 고려할 경우 투입자금 회수를 위한 배당정책 유지·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쌍용C&E는 2018년부터 연간 EBITDA의 50% 수준인 2000억원 내외의 배당금을 지급해왔다. 2023년 1분기 분기배당부터는 기존 배당 금액 중 일부를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사용하기도 했다. 기존 배당금 지급 규모가 현금창출력 대비 과중한 수준인가운데, 주주환원 관련 자금지출이 추가로 확대될 경우 재무구조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올해 PF리스크와 주택 수주 부진 등 건설경기 전반의 불황으로 시멘트 업황도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 둔화가 전망된다. 전력비 등 주요 원가 및 비용의 등락 가능성도 존재한다. 환경 부문 투자도 투자 부담을 늘리는 요소다. 현재 쌍용C&E는 1800억원을 투자해 영월에 폐기물 매립장 건설사업을 추진 중이다. 진행이 최종 확정될 경우 투자 부담이 재차 확대될 수 밖에 없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기존 배당금 지급 부담과 더불어 금번 자기주식 매수 규모를 감안하면 의미 있는 수준의 재무구조 개선에서는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면서 “올해의 경우 업황 전망이 어두워 수익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데다 대주주인 한앤코의 지배력 강화로 주주환원 정책 확대 가능성도 존재해 당분간 신용등급 상향 요인은 발생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