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금융권 막론… '많이 받아봐야 2%대'600만원 6개월 예치… 7만원도 어려워
-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마저 2.5%에서 움직일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기준 금리가 더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은행 예금자들은 예금 이자가 사실상 1%대에 진입했다며 울상이다.<뉴데일리경제>가 시중 1·2금융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예금 이자가 사실상 1%대로 떨어졌다'는 주장은 일부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기관에 따라 2.0%의 금리만을 제공하는 곳도 있는데, 이 경우 세금을 공제하고 나면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금액은 2%도 채 안되는 셈이다.이번 조사는 600만원을 6개월간 정기예금으로 예치할 경우, 몇 퍼센트의 이율을 적용받으며, 세전 이자와 세후 이자는 각각 얼마로 집계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조사 대상으로는 1금융권 기관 중 금융지주 계열사인 국민·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국책은행인 기업은행, 외국계은행인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을 선정했다. 2금융권 기관으로는 관악새마을금고·영등포농협·친애저축은행·SBI2저축은행을 선정했다. 2금융권 기관 선정 기준은 서울 관악·동작·영등포구에 본점 또는 지점을 둔 금융기관 중 임의로 정한 것이다
◇ 600만원 예치해도 7만원 받기 어려워조사 대상 금융기관 중 가장 많은 이자를 지급하는 금융기관은 농협지역조합(단위조합)인 영등포농협이었다. 2.45%의 이자를 제공하는 이 금융기관은 세후 7만2846원의 이자를 제공한다. 2.4%의 이자로 세후 7만1000원을 지급하는 관악새마을금고가 그 뒤를 이었다. 단, 이 금액은 세금 우대 혜택을 적용받는 고객에게만 적용된다. 세금 우대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이 소재한 자치구(관악구·동작구 등)에 거주할 것 △예치금액이 3000만원 이하일 것 △해당 금융기관의 조합원 또는 준조합원으로 가입할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조건을 따지지 않을 경우, 최다 이자를 지급하는 곳은 친애저축은행이었다. 이 곳은 이율 2.6%, 세후 6만6360원의 이자를 지급한다. 친애저축은행 관계자는 "23일 현재 6개월 정기예금을 놓고 볼 때, 한국은행 기준금리 이상의 이자를 제공하는 곳은 우리 외에 드물다"고 주장했다.1금융권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가장 높았다. 국민은행은 기준금리와 같은 연 2.5%, 세후 6만3450원의 이자를 제공한다.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할 것이라는 통념과는 달리, SBI2저축은행의 2.41%, 세후 61220원을 앞지른 것으로 조사됐다.단, 국민은행의 이같은 이율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본지 기자가 조사했을 때, 영업점 직원이 제시한 상품은 'KB국민 첫재테크예금'이었다. 이 상품은 만 18세 이상 38세 이하의 개인이 100만원 이상 2000만원 이하를 예치할 때 해당 이자를 지급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이건호 행장이 강조하는 '스토리가 있는 금융' 실천의 하나로, 첫 제태크를 시작하는 젊은 고객에게 이자를 더 지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질 이자 1%대 전락…수익구조 다각화 절실반면, 기업은행 정기예금처럼 이자가 2.0%에 불과한 상품도 있었다. 세금을 떼고 나면 실제로 손에 쥐는 이자 액수는 2%도 채 안되는 셈이다.본지가 만난 영업점 직원들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은행의 영업 환경도 눈에 띄게 어려워지고 있다. 세금을 제하면 실질 이자는 1%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탓에 정기예금을 찾는 소비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한 시중은행 영업점 직원은 "이대로 가다가는 '제로 금리' 시대에 도달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직원들 사이에서 나온다"며 "그렇게 되면 어떻게 영업을 해야 할 지 눈 앞이 캄캄하다"고 토로했다.
이 직원은 "이런 환경에서 예금 영업만으로 수익을 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에 펀드 영업 등에 신경을 쓰고 있다"며 "소비자들도 정기예금보다는 펀드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1년 전인 지난 2013년 7월 25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국내 지주사의 수익 구조가 은행에 지나치게 편중돼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최 원장의 지적 이후에도, 많은 금융전문가들이 같은 취지의 우려를 표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각 금융사들의 수익 구조 다각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