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오섭 글로리서울안과 대표원장
    ▲ ⓒ구오섭 글로리서울안과 대표원장


    "몸이 천 냥이면 눈은 구백 냥"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인 '눈'. 실제로 신체가 느끼는 오감 중 시각을 잃었을 때 인간은 노동력 상실률을 가장 크게 경험한다. 따라서 생애 주기별에 맞게 안 검진을 받는 것의 중요성은 거듭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영유아기(출생 후~만6세)의 시력은 생후 1년까지 빨리 발달하며 만 6~7세가 되면 어른 수준에 도달하므로 시력 이상과 눈 질환은 눈이 성숙되는 만 6세 이전에 발견, 치료해야 그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 생후 3개월, 6개월, 12개월 즈음 한 번씩 시력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 시기는 주로 눈의 백내장과 같은 선천성 안질환을 주요 대상으로 검진한다.  만 3~4세는 시력을 처음 측정할 수 있는 나이이며, 이때 주로 사시가 발생하므로 이 시기에 시력검사를 행해야 좋다.

     

    이후 학동기(7~12세)에는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안과적인 문제로 굴절이상 및 근시를 주의해야 한다. 근시는 일단 발생하게 되면 성장기가 끝날 무렵까지 계속 진행된다. 동양인의 경우 1년에 약 -0.5D에서 -0.6D정도, 안경 도수가 증가한다. 시기와 진행 속도는 각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1년에 적어도 한 차례 이상 시력검사를 하여야 항상 올바른 도수의 안경을 유지할 수 있다. 고도근시의 경우, 그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더 자주 검사를 하여야 하며 망막변성, 망막박리, 백내장, 녹내장 등의 질환이 이차적으로 동반될 수 있어 시력검사뿐만 아니라 안압 측정, 망막(시신경) 검사 등으로 이차적인 질환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또 시기능 검사인 입체시 검사와 색각 검사를 통해 입체시가 떨어져 있거나 색약이 있는지 그 유무를 검진해야 한다.

     

    안구의 근거리 작업이 많아지는 학령기(13~18세)에는 스포츠나 야외 활동을 통해 먼 곳을 바라보는 습관을 가져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것이 좋다. 근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영양제 및 특정 음식은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골고루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외관에 많이 신경을 쓸 나이므로, 미용 효과를 고려해 역기하렌즈(드림렌즈, 오케이렌즈)로 근시와 난시를 교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경도의 근시가 있는 사람의 각막에 적용했을 때만 효과를 볼 수 있다. 더욱이 각막 탄력성 좋은 어린 나이에 사용해야 유지 효과가 높아진다. 이는 근시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근시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콘택트렌즈를 많이 사용하는 청년기(18~30세)에는 렌즈의 이물감 및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럴 경우 라식, 라섹, 안내렌즈삽입술과 같은 굴절교정수술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굴절교절수술의 경우, 정확한 안과적 검진 및 의료진과의 상세한 상담 후 환자 개개인의 검사 결과에 따른 맞춤수술이 가능한 병원에서 수술을 받을 것을 조언한다. 또 콘택트렌즈를 선택할 때는 착용감이나 가격보다 눈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먼저 따져보고 선택해야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장년기(40세 이상~60세)가 처음으로 경험하게 될 노안. 이는 가까운 곳을 보기 위해 수정체를 변화시키는 능력(조절)이 상실돼 나타나는 증상이다. 노안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돋보기가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이는 심리적인 거부감에 불편함까지 초래해 권장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 노안 교정 수술이 각광받고 있다. 먼저 노안 교정이 가능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눈 속에 삽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백내장이 함께 있는 경우 백내장 수술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좋으나, 눈 속 감염 위험성이 높다. 또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노안교정수술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젊은 사람들의 근시, 원시, 난시 치료에 획기적인 결과를 가져온 레이저 굴절교정수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거리와 근거리를 동시에 잘 볼 수 있도록 레이저로 절삭하는 방법이다. 
     

    나아가 노안 이외, 장년기에 발생하는 다른 질병들도 많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40세 이상에서 백내장 40.2%, 나이관련 황반변성 5.6%, 녹내장 2.1%가 발병했다. 당뇨망막병증은 19세 이상 당뇨병 환자 중 13.4%가 앓고 있다. 이와 같은 녹내장, 나이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의 질병은 조기 진단과 조기치료만이 영구적인 시력장애를 막을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에서 권고하는 '안과검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40세 이상 성인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을 잘 받고 시력 이상으로 정밀검사가 필요할 경우 반드시 안과검진을 받아야 한다. 또한 시력에 이상이 없더라도 녹내장, 백내장, 망막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1년에 1회 이상 받아야 하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는 즉시 안과에서 망막검진을 받아야 한다.

     

    노년기(60세 이상)의 경우, 3대 실명질환으로 황반 변성·당뇨망막병증·녹내장을 꼽는다. 이 질환들은 중증으로 진행되기 전까지 자각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시력저하를 나이 때문이라고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환자들도 적잖다. 또 한쪽 눈에 질환이 발생해 시력이 떨어지더라도 다른 쪽 눈이 건강하면 자각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기에, 갑자기 눈이 나빠지거나 평상시 쓰던 안경이 맞지 않는다면 그 즉시 안과 검진을 받는 게 좋다. 
     

    황반변성은 안구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신경조직인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이 망가지면서 생긴다. 황반은 망막 기능의 90%를 담당하므로, 이것이 망가지면 중심부가 찌그러져 보이는 등의 증상을 경험한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국내 성인 실명 원인 1위다. 당뇨병 때문에 일어나는 말초순환장애가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을 손상시키는 과정에서 혈관이 출혈을 보이거나 과잉 증식돼 결국 망막이 손상되는 원리다. 

     

    시신경이 손상돼 시야가 좁아지는 병인 녹내장의 주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시신경 손상은 안압의 상승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안압이 정상인 경우에도 혈액공급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기도 한다. 녹내장은 주변부 시야이상이 나타나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중심부의 시야가 좁아지는 말기에 이르러 답답하다고 느끼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빛을 통과시키는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백내장도 악화되면 실명에 이르지만, 이는 최근 수술법이 발달해 치료만 받으면 정상 시력으로의 회복이 가능하다. 

     

    이렇듯 녹내장, 백내장, 황반 변성, 당뇨망막병증은 전 세계적으로 4대 실명질환이지만 조기 발견하면 80% 이상 병의 진행을 늦춰, 실명을 막을 수 있으므로 40대부터 1년에 녹내장, 백내장, 망막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안과검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