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최근 지방 경기 침체와 언택트 금융서비스 가속화로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M&A(인수·합병)을 통한 매각 절차 외에는 현재로선 묘수가 없는 듯하다. 

    이로 인해 지난 십수년 전부터 지방저축은행의 매물이 쌓여만 가고 있다. 현재 10여개의 저축은행 매물이 있으나, 시장에서는 큰 관심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는 타 금융업권과 비교해 엄격한 규제가 동종업계뿐 아니라 사모펀드(PEF)마저 외면받게 하고 있다.

    대형저축은행인 ‘OSB저축은행’조차 지난해 매각을 시도했으나, 마땅한 인수자를 찾지 못해 결국 이 결정을 철회했다. 엄격한 규제 때문에 다시 되팔기 힘든 만큼 인수자는 평가 대비 가격을 낮추려고 하고, 판매자는 제값을 받으려는 경향이 커 쉽게 매각으로 이어지긴 드물다. 

    이달 들어서도 알짜매물인 JT저축은행이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JT저축은행을 보유한 J트러스트그룹은 2015년 인수 당시 같은 계열사인 JT친애저축은행과 합병하려는 여러 차례 시도를 한 바 있다. 하지만 규제에 막혀 이를 포기하고 각자 기업을 키워왔다. 지금에 와서 두 저축은행 모두 거대해진 상태에서 합병을 통한 시너지효과보다는 서로 간 영업권 중복에 따른 실적 상쇄 효과를 우려해, J트러스트그룹은 이 같은 판단을 내렸다. 

    현재 저축은행법상 동일 대주주가 저축은행 3개 이상을 소유·지배할 수 없고, 영업구역이 확대되는 합병도 제한된다. 또 캐피탈과 달리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향후 10년간 경영계획을 금융당국에 제출해야 돼, 사모펀드마저 저축은행을 기피하게 됐다. 또한 인수 시기가 늦어질수록 매물로 나온 지방저축은행들이 지역 내 경기 하락으로 경쟁력은 떨어지고, 부채만 늘어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하지만 규제가 풀리지 않는 한 JT저축은행 역시 다른 저축은행의 전철을 밟지 않을지 벌써부터 시장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오픈뱅킹 도입 ▲디지털뱅킹 가속화 ▲빅데이터·AI 기술 도입 등 금융서비스 점차 첨단화 비대면화 되는 상황에서, 저축은행도 예외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대면 서비스 비중이 커질수록 지역 거점지역을 제외한 지점의 통폐합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중소형 저축은행 홀로 금융사업을 이어가기란 더욱 힘들어진 상황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이 올해 초 내놓은 ‘저축은행 M&A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결단이 한시라도 빨리 이뤄지길 현재 업계는 바라고 있다. 업계의 우려대로 디지털화에 취약한 지방저축은행이 시기가 지날수록 그 경쟁력이 떨어진다면, 매각마저 힘든 상황이 도래할지도 모를 일이다. 이로 인해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양극화도 더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