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정부-기업이 저출산 사회적 논의 확산하는 공론의 場 마련최정우 회장 "출산친화 기업문화 만들기 위해 기업시민 역할 다할 것"
  • ▲ 14일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2020 저출산 심포지엄에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포스코
    ▲ 14일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2020 저출산 심포지엄에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포스코

    포스코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포스코는 14일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한국인구학회가 주최하고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대통령직속기관)와 포스코가 후원하는 ‘2020 저출산 심포지엄’이 열렸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인구절벽 · 지방도시 소멸의 시대, 청년이 행복한 나라에 미래가 있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저출산 문제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를 공유하고 사회적 논의를 확산하는 장(場)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포스코는 학계, 정부, 기업이 한 목소리로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문제해결의 필요성을 공론화했다.

    출산과 양육 친화적인 사회문화를 만들어가는데 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제시하는 첫 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환영사에서 “저출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포스코가 국내 최초로 육아와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경력단절 없는 육아기 재택근무제’시행과 함께 ‘배우자 태아검진 휴가제’도 도입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저출산 해법에 대해 학계, 정부, 여러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공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서 서울대학교 이철희 교수는 광양제철소가 소재한 광양시와 이천 SK 하이닉스공장 건설에 따른 인구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에서 기업의 고용확대가 혼인/출산율 증가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이에 인구절벽 위기에서 기업의 중요한 역할은 직원들의 출산·육아를 지원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며,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해 직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인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6대 기업시민 대표사업’중 하나로 ‘저출산 해법을 위한 포스코형 롤모델 제시’를 선정하고 다양한 활동과 사업을 하고 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코로나19 로 행사장 참석을 최소화하면서 포스코 기업시민 홈페이지(http://corporatecitizenship.posco.com)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행사장 방역을 위해 현장 참석자들은 사전신청으로 비표를 발급받고 QR코드를 통해 다시 한번 출입 절차를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