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론자 바이든 신재생에너지 확대시 정유·석유플랜트 수주 걸림돌저유가-친환경기조로 미래산업 준비한 건설업체엔 호재로 작용 가능성 …산유국 재정수입 악화로 수주 걸림돌
  • ▲ 제46대 미국대통령 조 바이든 민주당 당선인. ⓒ 연합뉴스
    ▲ 제46대 미국대통령 조 바이든 민주당 당선인. ⓒ 연합뉴스

    제46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사실상 당선됨에 따라 국내 건설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바이든 당선인의 건설경제 핵심공약은 '재생에너지분야 2조달러 투입'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0)'다. 또 1조30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의 낙후한 각종 기반시설을 개선할 방침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누구보다 환경·에너지문제에 예민한 편이다. 앞으로 4년간 2조달러를 투자해 친환경인프라를 구축하고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기차 보급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해 왔다. 그 일환으로 트럼프 행정부때 탈퇴한 파리기후협약에 정확히 77일안에 재가입하겠다고 공언한바 있다.

    이로인해 일각에선 국내건설사 해외주력사업인 정유·석유화학플랜트나 석탄 및 복합화력발전소 수주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정책 변화로 산유국 재정수입이 악화될 경우 국내 수주텃밭인 중동시장 발주가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 난제다. 

    실제 유가가 급락할때마다 국내 건설업계는 직격탄을 맞아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유가가 75% 하락하자 국내 코스피 건설업지수가 74% 떨어졌고 2014년 유가가 80% 가까이 급락했을때는 건설업지수가 37%이상 하락했다.

    대신 저유가와 친환경 기조에 대비해 미리 신사업을 구축해온 일부 건설사엔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일례로 삼성물산은 업계 최초로 '탈석탄'을 선언, LNG복합화력 및 저장시설,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예고한 바 있다. GS건설도 해외수처리·태양광개발사업·배터리 재활용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란·중국과의 관계도 관심사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한후 대이란 경제제재를 강행했다. 반면 바이든 당선인은 이란 핵문제를 외교적으로 풀어갈 전망이다. 실제 미국 민주당은 지난 8월 이란 핵합의에 복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는 국내건설사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 제재 당시 국내 건설사에 큰 피해를 준 바 있다. 대림산업은 2017년 이란 정유회사에서 수주한 2조2000억원짜리 공사계약을 2018년 6월 해지했다. 미국의 이란제재로 금융조달에 실패한게 원인이었다. 하지만 바이든 당선자가 오바마 대통령 시절 합의했던 핵합의를 다시 이어갈 경우 국내 건설업계는 대이란 수주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진성 KTB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미 대선과 한국 섹터 전략' 보고서에서 "미국 민주당 정부의 확장 재정정책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유가가 상승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플랜트 발주가 재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풍력·연료전지·수처리 등 친환경사업을 영위하던 중소건설사들에는 수혜가 될 수 있다"며 "창호·단열재 등 그린리모델링사업에 진출한 건자재업체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