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2兆 상장사, 2025년부터 ESG포함 보고서 의무화대형건설사, 이사회 내 ESG委 신설 친환경 사업 박차
  • 최근 경영 화두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가 떠오르자 건설사들이 분주하다. 컨트롤타워 신설하고 신사업 추진을 위한 채권발행 등 지속가능한 경영 환경을 위한 체계 정비에 한창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GS건설은 이사회를 개최하고 기존에 운영하던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ESG위원회로 확대개편해 운영키로 했다. 특히 내년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ESG위원회를 이사회내 위원회로 격상해 존재감을 더욱 높이기로 했다. 

    GS건설은 ESG위원회 위원장으로 이희국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ESG위원회를 통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쟁점사항을 파악해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방향성을 점검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GS건설은 ESG경영에 그치지 않고 친환경에 초점을 맞춘 신사업을 통해 이를 적극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수처리사업과 태양광 개발사업,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 광폭행보를 보이는 중이며, 지난해부터는 모듈러 사업도 시작했다.

    모듈러 공법은 건축 부재 70% 이상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뒤 공사 현장에서 설치와 내외장 마감만 진행하는 방식이다. 탈현장 건설방식 중 하나로 기존 공법보다 건설 폐기물, 배출 가스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 사업으로 평가받는다. 

    GS건설은 ESG경영과 함께 이를 기반한 사업구조를구축하고 미래 지향적인 벨류체인을 만드는데 매진한다는 포부를 내비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1위인 삼성물산도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거버넌스위원회를 ESG위원회로 확대개편하는 안건을 의결하고, 정병석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삼성물산도 이사회 전원을 ESG위원으로 위촉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친환경기업으로 탈바꿈 중인 SK건설도 ESG경영을 본격화한다. 이사회 아래 ESG위원회를 신설하고 친환경 신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하수처리시설 설계와 시공업, 페기물 수거·소각·매립사업, 자원의 재활용과 회수된 자원의 매매업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상태다. 

    SK건설은 올해 초부터 녹색채권 공모에 나서며 신사업 착수를 위한 실탄마련에 나섰다. 지난 2월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1500억원 모집금액에 무려 8배가 넘는 1조2100억원의 자금이 몰리며 흥행에 성공한 바 있다. 녹색채권은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자금에 쓰이는데, SK건설은 조달자금으로 태양광과 연료전지, 친환경 건축물 등 신규 프로젝트에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SK건설은 본사에 그치지 않고 협력사를 위한 맞춤형 ESG평가 모형도 개발하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ESG경영에 두각을 나타내는 중이다. 탄소배출량, 안전보건, 고용안정, 경영안정성 등 ESG 이슈와 건설업 특성을 반영한 평가모형을 개발해 새로운 협력사에 시범평가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작년 국내 건설사 최초로 ESG외화사채를 발행한 포스코건설은 이번에도 국내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외국계은행과 ESG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해 눈길을 끈다. 기존 선물환 계약에 ESG경영 일환인 온실가스 절감과 녹색건축 인증 목표 달성시 인센티브를 제공받는 조건을 덧붙인 상품이다. 포스코건설은 SC제일은행과 ESG금융 업무협약을 맺고 그린론(Green-Loan) 등 ESG금융 생태계도 새롭게 구축키로 했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너도나도 ESG경영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금융당국의 ESG공시 의무화가 자리잡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오는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에게 ESG를 포함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해야한다는 공시 의무를 지웠기 때문이다.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가 적용 대상이라 중견건설사들도 속속 ESG경영체계를 구축할 수밖에 없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채권 등 특수목적 발행 채권이 크게 늘고 있고, 저탄소 산업 생태계, 탈석탄 등 친환경 이슈가 기업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다보니 국내 산업계에서도 ESG경영 바람을 피할 수 없는 셈이다.

    다만 갑작스러운 ESG경영 바람에 속앓이를 하는 건설사들도 늘고 있다. 주택사업 비중이 높고, 남성인력 비중이 큰 건설업 특성을 외면하고 획일화된 ESG기준을 맞추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십여년전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됐고, 사회공헌 등을 통해 이를 실천해왔다"며 'ESG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계획에 없던 친환경 사업을 무작정 실천하긴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