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3년3개월만에 금리 0.25%P↑…6회 추가인상 시사파월의장 "이르면 5월부터 양적긴축 시작"…시장 유동성↓IMF "신흥국 자본유출 등 우려"…전문가 "원화약세 등 불가피"
  • ▲ 미 연준과 제롬 파월 의장.ⓒ연합뉴스
    ▲ 미 연준과 제롬 파월 의장.ⓒ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에 착수하면서 우리나라도 금리인상과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연준은 16일(현지시각)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내놓은 성명에서 현재 0.00~0.25%인 기준금리를 0.25∼0.50%로 0.25%포인트(p)올린다고 밝혔다. 2018년 12월 금리인상이후 3년3개월만이다. 연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하려고 줄곧 금리를 영(0)에 가깝게 낮췄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를 보면 올해말 금리 수준을 1.875%로 예상했다. 올해 남은 6번의 FOMC 회의 때마다 0.25%p씩 인상을 예고한 셈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금리를 더 빨리 올리는게 적절하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했다. 금리 인상폭을 0.25%p보다 가파르게 가져갈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중인 물가상승률이 심각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연준은 이날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4.3%로 제시했다. 작년 12월 전망치(2.6%)에서 1.9%p나 올려잡았다.

    연준은 또한 이르면 오는 5월부터 자산 축소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것을 예고했다. 연준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응하려고 2020년부터 매달 1200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를 사들여왔다. 연준 보유자산은 8조9000억 달러(약 1경902조5000억원)로, 코로나19 사태로 2년 새 2배쯤 불어났다. 연준이 사들인 자산을 빠르게 되팔면서 긴축에 나서면 시장의 풍부했던 유동성이 급속히 쪼그라들 수 있다.
  • ▲ 물가 비상.ⓒ연합뉴스
    ▲ 물가 비상.ⓒ연합뉴스
    미국이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를 급속히 올리고 양적 다이어트에도 나설 경우 주변·신생국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의 긴축에 대비하라고 신흥국에 경고해온 상태다. IMF는 미 연준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면 수요와 교역 둔화를 동반하면서 신흥시장의 자본 유출과 통화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4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했다.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확산 속에 경기 회복세를 고려했다는 분석이지만, 미 연준의 긴축 가속은 한은의 금리 인상 속도를 부채질할 수밖에 없다. 연세대 성태윤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발 금리 인상은) 주변국에는 지속적인 금리인상 등 불가피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미국내 수익률이 높아지면 우리는 원화 약세가 진행될 수 있어 부담스러운 측면이 없잖다"고 했다. 원화 약세는 수출에는 긍정적이다.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심화하며 수입 원자잿값이 오른 상태에서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수입물가 부담에 국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30(2020년=100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7%나 올랐다. 지난해 10월(3.2%) 이후 5개월 연속 3%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소비자물가가 5개월 이상 3%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기록 이후 근 10년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