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삼강엠앤티 인수…글로벌 협력 강화대우건설 굴업도사업 추진…설계·시공 기술력 우수육상풍력보다 입지제한 덜하고 효율 좋지만 경제성↓
-
건설사들의 신사업 진출이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시대를 맞아 풍력에너지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건설사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수익성과 글로벌기업과의 기술격차 등은 넘어야 할 산으로 지적된다.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풍력에너지 사업의 중심이 육상풍력에서 해상풍력으로 옮겨가는 분위기다.해상풍력은 육상풍력보다 입지의 제약이 덜해 대규모 단지를 조성할수 있고 바다에 위치한 만큼 풍속이 상대적으로 강하면서 균일해 에너지 생산 효율이 우수한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친환경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중인 SK에코플랜트는 작년 11월 4600억원을 들여 삼강엠앤티의 지분을 인수하며 해상풍력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지난 8월에는 삼강엠앤티를 자회사로 편입하고 대표이사로 이승철 SK에코플랜트 W프로젝트 총괄담당임원을 선임했다.삼강엠앤티는 해상풍력 발전용 터빈 제작에 활용하는 하부구조물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업체다. 하부구조물은 해상풍력의 터빈을 지탱하는 핵심 기자재.이 회사는 경남 고성에 93만㎡ 규모의 야드 및 접안부두 등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한 하부구조물 제조 역량을 보유중이다. 대만이 주력 수출시장으로 최근 역대 최대 규모의 하이롱 해상풍력 단지에 공급할 6007억원 규모의 하부구조물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글로벌 1위 해상풍력 개발사인 덴마크 오스테드(Orsted)와 벨기에 얀데눌(Jan De Nul) 등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2021년 누적수주 1조3600억원의 역대 최고 실적을 냈는데 절반이상이 해상풍력 분야에서 나왔다.SK에코플랜트는 삼강엠앤티 인수와 함께 글로벌기업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해상풍력 전문 개발사인 코리오 제너레이션(Corio Generation), 글로벌 종합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와 국내 해상풍력사업인 바다에너지(BadaEnergy)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다.이 사업은 울산시와 전남 등 5개 권역의 2.6GW 규모 부유식·고정식 해상풍력사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특히 부유식 해상풍력단지중 세계 최대 규모로 예상되는 1.5GW 규모의 귀신고래 프로젝트도 포함됐다.이르면 2024년부터 단계적 착공에 돌입해 2027년 상업운전(COD) 개시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회사 관계자는 "2012년부터 동남권 해안에서 풍황데이터 측정, 타당성 조사 등을 수행하며 해상풍력 사업을 준비해 왔다"며 "이를통해 국내 기업 최초로 사업개발, 인허가, 구조물 제조, EPC(설계·조달·시공), 발전사업 운영 등 해상풍력분야 밸류체인 전반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대우건설도 1조3000여억원 규모의 굴업도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이 사업은 인천시 옹진군 굴업도 인근 해상에 240㎿ 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2025년 착공해 2028년 상업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대우건설은 2011년부터 국책과제를 통해 수심 40미터 이내의 해상에서 3㎿ 이상급 풍력발전터빈과 타워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식 하부구조 시스템을 개발해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에 적용한 바 있다.부식에 대한 저항이 강하고 설치가 빠른 신형 해상풍력 콘크리트 석션식 지지구조물을 개발하는 등 해상풍력 부문 설계·시공 기술력도 보유하고 있다.또한 한화건설은 2020년 대표이사 직속으로 풍력사업실을 신설하고, 사업비 2조원 이상이 투입 예정인 400㎿급 신안우이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하지만 건설사들의 해상풍력 진출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도 적잖다. 이전 문재인 정부부터 탄소중립 아래 해상풍력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리고 있지만 낮은 수익성과 효율성, 긴 사업기간, 주민 반대 등 문제가 산적해 지속 성장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에서다.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육상풍력보다 입제 제한은 덜하지만 설계와 기초조사, 설치, 가동비용 등 제반 비용이 훨씬 더 많이 소요된다"며 "육상에서 멀어질수록 설치 및 보수 비용이 늘어 경제성도 떨어지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럽연합(EU)에서는 해상풍력의 건설 및 유지비용이 육상풍력 대비 약 2배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기술력 부족도 문제로 지적된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해상풍력 부문의 경우 실증경험 부족과 국내시장 협소 등으로 기술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다른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주민 반대와 생태계 파괴 문제 등으로 인해 파이가 적을 수밖에 없어 결국 실질적인 수익을 내려면 해외에서 글로벌기업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다"며 "하지만 국내 기술력은 해상풍력 부문 선진국들이 있는 유럽의 70~80% 수준에 불과해 경쟁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