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경제연구원, '배터리 소재 및 미래기술 전망 세미나' 열어LG엔솔, 삼성SDI, SK온 등 '호주-칠레-캐나다' 광물 장기계약 체결 중폐배터리 시장 급성장도… 2027년 '21조', 2050년 '600조' 규모 확대 전망도
  • ▲ ⓒ변상이 뉴데일리 기자
    ▲ ⓒ변상이 뉴데일리 기자
    글로벌 배터리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배터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 전망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특히 한국이 '배터리 강국'을 지키기 위해서는 안정적이 광물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화학경제연구원은 17일 '배터리 소재 및 미래기술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배터리 산업동향 및 혁신 전략을 시작으로 폐배터리 시장 활용과 관련한 의제를 다뤘다. 

    이날 강연을 맡은 송준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의 배터리 산업의 혁신 전략으로 크게 △안정적 공급망 확보 △첨단기술 혁신허브 구축 △건실한 국내 생태계 조성 등 세가지를 꼽았다. 핵심 광물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략들로 민관 합동을 통해 배터리 역량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것이다.

    송 수석연구원은 "리튬, 니켈 등 배터리 소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 중국에서 전세계로 공급망을 확대해야 한다"며 "현재 LG엔솔을 비롯해 삼성SDI, SK온 등 기업들은 호주, 칠레, 캐나다 등과 광물 장기계약을 체결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미국과 FTA 체결국의 광물일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FTA 체결국 중심으로 적극적인 투자도 지속 검토하고 있다"며 "미국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2025년부터 보호무역 정책 실행으로 특정 국가 광물에 한해 보조금 혜택이 이뤄질 전망이다"고 발표했다. 

    현재 미국은 IRA를 시행하며 자국이나 자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광물을 40% 이상 사용한 배터리에만 세액공제 혜택을 주고 있다. 부품은 자국에서 생산되는 비율이 50% 이상이어야 한다. 자국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는 기업에 큰 폭의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해 글로벌 배터리사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EU도 2026년부터 배터리 온실가스 배출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과정을 디지털화한 '배터리 여권'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2027년부터 일정 기준 이상 온실가스를 배출해 만든 배터리는 시장 접근을 제한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 핵심 원자재의 EU 내 가공을 40% 이상으로 늘리고 2031년부터는 코발트·리튬·니켈 등을 일정 기준 이상 재활용하도록 했다.

    이 같은 글로벌 추세에 송 수석연구원은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투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2030년까지 1조원 이상을 배터리 연구개발에 투자해 기존 삼원계 기술 극대화, 인산철 기술 확보, 미래 기술 개발, 탄소 배출량 25% 이상 감축을 목표로 세웠다.

    또 배터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전북 새만금 등 4곳에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했다. 새만금은 양극재 핵심인 전구체 양산과 핵심 광물 가공 및 배터리 재활용 생산 단지로 키울 계획이다. 경북 포항과 울산, 충북 청주(오창)에도 배터리 산업 단지를 조성해 이차전지 생산 거점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정부와 기업은 2028년까지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공정기술 확보에 나설 방침"이라며 "전고체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 분야 투자를 강화해 미래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폐배터리 시장' 전망에 대한 의제로 다뤘다. 폐배터리 시장은 2050년 6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들 사이에서는 폐배터리 활용도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김기현 한국환경공단 폐배터리 클러스터TF 팀장은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은 2027년 21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연평균 32% 성장하는 수치다"며 "이대로라면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 폐자원 거점 수거센터가 체계적으로 마련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직까지 '재활용' 폐배터리는 '재사용' 폐배터리와 달리 화학물질이 누출될 우려가 있어 환경 규제를 적용 받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 규제 개선 목소리를 내자 환경부는 지난달 폐배터리를 재제조, 재사용할 경우 순환자원으로 지정해 폐기물 규제를 면제하는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재제조, 재사용'은 배터리셀 자체를 파쇄하지 않고 그대로 재사용해 유해물질 누출 등의 위험이 없어 순환자원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의 처리 방법만 다를 뿐 재제조, 재사용, 재활용이 동일한 원료를 다루는 공정인 만큼 재활용하는 폐배터리에도 폐기물 규제를 면제해줘야 한다"며 "현재 관계부처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업계가 머리를 맞대어 폐배터리 관련한 자원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 중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화유코발트·대주전자재료·에너에버 배터리솔루션 등 국내외 배터리 소재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