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 조직 신설...흩어져있던 HBM 조직+GSM '시너지' 추진내년 HBM 시장 '폭풍 성장'...엔비디아 이어 글로벌 빅테크까지 '고객사'로HBM 기술 개발·시장 개척 조직도 신설...유일한 사장 승진자 탄생한 GSM
  • ▲ SK하이닉스 AI Infra 담당 김주선 신임 사장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 AI Infra 담당 김주선 신임 사장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내년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사업에서 본격적으로 고객사 확보에 나서기 위해 'GSM(Global Sales & Marketing)' 조직에 힘을 실었다. 엔비디아는 물론이고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AI 서버 구축에 나서면서 HBM 수요가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시장 점유율 1위인 SK하이닉스가 역량을 총 동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는 7일 이사회 보고를 거쳐 2024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조직개편을 통해 SK하이닉스는 'AI 인프라' 시장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략해나가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우선 'AI 인프라' 조직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부문별로 흩어져 있던 HBM 관련 부서와 인력을 한 데 모으고 여기에 기존 GSM 조직이 합쳐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마디로 지난해부터 SK하이닉스 D램 사업의 효자로 불리는 HBM 사업과 글로벌 영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겠다는 의미다.

    신설 AI 인프라 조직은 특히 내년 각축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대형 고객과 신규 고객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중점적으로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SK하이닉스는 미국 AI 반도체 1위 엔비디아에 HBM3를 가장 먼저 공급하며 명성을 쌓았다.

    내년부턴 글로벌 빅테크들도 자체 AI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내면서 AI 반도체에 필수인 HBM을 확보하기 위한 쟁탈전이 예고된다. 구글과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이미 HBM3나 HBM3e를 활용해 자체 AI 반도체 개발에 한창이고 애플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등도 자체 AI 반도체 개발을 추진할지 여부가 화두다. 중국의 다수 클라우드서비스 공급자(CSP)들도 자체 개발 칩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있다.

    SK하이닉스도 자체적으로 내년 HBM 수요가 올해의 2배 이상으로 커질 것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앞서 시장조사업체들이 HBM 시장 성장률을 향후 5년 간 연 평균 30%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직접 고객사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는 SK하이닉스가 봤을 때 성장 가능성은 더 크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번 AI 인프라 조직 신설도 이 같은 HBM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 만년 2위였던 SK하이닉스가 유일하게 1위 삼성을 제치고 양산 기술이나 개발에서 앞서는 분야인데다 시장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보니 전사적 역량을 총 동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HBM 기술 주도권을 이어가기 위해 차세대 HBM을 개발하는 조직에도 힘을 실어줬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AI 인프라 조직 산하에 'AI&넥스트' 조직도 신설했는데, 이 곳에서 AI 시대 기술 발전에 따라 파생되는 새로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발굴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번 인사를 통해 유일하게 사장 승진자를 배출한 곳이 HBM 고객을 발굴하고 관리하는 GSM 조직이라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해 연말 인사를 통해 GSM 담당을 맡은 김주선 부사장이 이번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며 신설되는 AI 인프라 조직을 총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