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민생금융 1조5000억, 총 지원액의 75% 상생금융 전담부서 신설 등 민생안정 속도전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은행권이 상생금융을 확대하라는 정부의 다양한 압박을 받고 있는 가운데 2조원 규모의 '상생금융 시즌2' 지원액을 확정해 집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은행마다 이자환급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일각에서는 상생금융 확대로 인한 불확실성이 금융권에 잠재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거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은 올해 상생금융을 위해 1조5000억원 규모를 지원할 예정이다. 은행권 상생금융 지원 총액인 2조원의 75%에 이른다. 

    은행 중에서는 3721억원을 분담키로 한 국민은행의 지원규모가 가장 많다. 

    신한은행이 3067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우리은행(2758억원), 농협은행(2148억원) 순이다. 

    하나은행은 아직 지원 규모를 확정하지 못했지만 33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BNK금융지주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각각 525억원과 307억원 등 총 832억원의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은행권의 상생금융액 배분은 은행별로 2023년도 추정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약 11~13%를 지원금액으로 산출됐다. 

    은행들은 지원액 확정과 동시에 이달 중 대상자를 선정해 지원 안내를 완료하고 3월까지 캐시백을 지원할 계획이다. 

    상생금융 전체 재원 2조원 가운데 80%인 1조6000억원은 은행별 공통 프로그램인 개인사업자 대출 이자환급에 쓰인다.

    은행권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약 187만명의 개인사업자 한 명당 평균 85만원의 이자를 환급받을 것으로 추산했다. 

    은행들은 공통 프로그램 외에도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자율프로그램 신설과 관련 조직을 확대했다.

    국민은행은 기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본부와 ESG기획부를 그룹 상생금융을 총괄하는 ESG상생본부, ESG상생금융부로 확대 개편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상생금융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전담부서를 신설했으며, 하나은행도 기업그룹 내 상생금융센터를 신설하는 등 전담조직을 꾸렸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3월 상생금융부를 출범하고 11월에는 상생금융 특별팀을 별도 발족했다.

    일각에선 상생금융 지원으로 은행권의 건전성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상생금융 비용의 경우 은행들이 최대한 연내 손실 처리를 하자는 분위기”라며 “이를 반영할 경우 금융지주사들의 4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1조4000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약 49% 가까이 감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