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창녕군의 한 주민은 '검은 준설토' 이야기를 꺼내자 “검은 흙이라도 좋으니 우리 논 리모델링 할 때 다 갖다줘요”라고 했다. 논바닥도 파보면 다 검은 흙이 나오는데 썩은 흙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헛웃음을 지었다.

    기사본문 이미지
    경남 창녕군 함안보 건설현장 근처 준설 현장. 수m에 달하는 퇴적토는 혐기성세균의 작용으로 아래로 갈수록 짙은 색깔의 흙이 자주 보인다. ⓒ 뉴데일리
    4대강 핵심 쟁점중 하나인 준설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는 준설한 퇴적토가 오염된 것이냐 아니냐이다.

    4대강 사업의 각종 쟁점 중 퇴적토 오염 논란은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제기된 이슈로, 강바닥 준설 공사 과정에서 일부 검은 흙이 나오며 세간의 관심이 모아졌다.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퇴적토 중에서도 오염된 퇴적토, 즉 오니토(汚泥土) 여부다. 4대강 사업의 평균 준설 깊이는 0.2~1.3m 정도지만, 보 터닦기 등을 위해 깊은 곳은 4~5m까지 강바닥을 파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과거 오염된 물질들이 쌓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층까지 도달하면 이 유해물질이 강으로 흘러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70~80년대 산업화 시대를 지나면서 오염된 퇴적토가 쌓였는지도 모르고, 그동안 의식하지 않고 지내다가 이번에 준설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의 중심에 선 것이다.

    지난 2월 3일, 민주당 김상희·김재윤 의원과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은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4대강 사업 준설 과정에서 오염된 퇴적토가 파헤쳐져 수질오염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세 의원은 낙동강 달성보 임시 물막이 공사장에서 시료를 채취해 동의과학대 분석센터에 의뢰한 결과를 인용, 독극물인 비소(As)가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검출됐다는 이유였다.

    달성보 공사 현장에서 파낸 흙에서 8.488ppm(국립환경과학원에서 측정한 수치는 5.64ppm)의 비소가 검출돼, 미국해양대기관리청(NOAA)의 퇴적물 기준(ERL·최소영향농도)인 8.2PPM를 초과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무리가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 “이 정도 비소량이면 우리나라 산림 토양에서 흔히 측정되는 농도이고, 외국 기준에 맞춰도 매우 적은 양”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토양기준은 25ppm이고 네덜란드는 규제기준이 55ppm인데 이 두 기준에 훨씬 못미친다는 것이다.

    또 경기대 윤세의 교수도 이와 관련 "반대측에서 근거로 든 미국의 해양대기청 기준도 법적 기준이 아니라 비규제 기준인 ‘가이드라인’일 뿐"이라며 수치상으로 보면 퇴적토가 위험한 오염토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우리나라엔 아직 '강물 속' 퇴적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기준은 없고, 일반적인 흙에서 토양 오염 여부를 따지는 기준만 있다. 정부는 현재 일반적인 흙에서 오염 여부를 가리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근거로 4대강 퇴적토의 오염 여부를 가리고 있다.

    기준이 되는 21개 항목은,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6가크롬 ▲아연 ▲니켈 ▲불소 ▲유기인화합물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시안 ▲페놀 ▲벤젠 ▲톨루엔 ▲에틸벤진 ▲크실렌 ▲석유계총탄화수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조(a)피렌 등이다.

    이 중에서  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물질인 비소는 독성으로 유명한 준금속 원소로, 농약이나 제초제·살충제 등의 재료가 되고, 여러 합금에도 사용된다.

    ◆검은 흙은 오염토인가?

    일반적으로 뻘층의 하천토양은 갈색을 나타내나, 강바닥 아래 저층(底層)에서는 산소 공급이 부족해 혐기성 세균(산소가 없는 상태를 좋아하는 세균)이 활발히 활동하고 그 결과 흙이 검은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바다의 갯벌이 검은색을 띠는 이유도 같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시골에서 논바닥을 갈아 엎을 때 바닥 흙이 검은 경우가 많은 것은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낙동강변의 농경지 리모델링 현장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창녕의 한 농경지 리모델링 현장에서도 준설토로 성토하기 전 불도저가 기존 논 흙의 표토를 긁어 모으자 아래 검은 흙들이 뒤집혀 드러났다.

    경남 창녕군 길곡면 오호리 리모델링 현장. 황갈색 표토를 긁어내면 아래 검은 층이 보인다. ⓒ 뉴데일리

    논 주인에게 “검은 흙이 뭐냐”고 했더니, “논 가래질 할 때마다 뒤집혀 나오는 흙저렇게 검다”고 했다. 곁에 있던 농어촌공사 관계자도 “저수지 바닥을 파도 뻘층은 검은 곳이 많다. 바다 갯벌도 다 검다”며 색깔로 오염여부를 주장하는 건 잘못이라고 했다.

    따라서 강 준설토에 섞인 검은색 토양이라도 중금속 오염과 즉시 관련지을 수는 없고 이를 오니토라고 단정하는 것도 무리다.

    합천보 건설 현장의 한 토목기술자도 “하천 공사장에서 가끔 검은 흙이 올라오기도 하지만, 공기 중에 쌓아 두면 색깔이 다시 흐릿해진다”고 경험을 소개했다.
    구미시 옥성면 농소리의 한 주민은 “하천에 준설토가 오염됐다고 해도 그걸 파내지 않으면 지하수까지 오염될텐데, 왜 준설을 하지 말자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준설을 그만하자는 주장이 한심하다는 듯 말했다.


    ◆만일 오염됐다면 처리는?

    만약 4대강 준설 과정에서 오염된 퇴적토(오니토) 발견된다면 어떻게 처리할까. 4대강추진본부에 따르면, 일단 퇴적토의 오염 정도와 범위, 정화물량 등을 조사한 뒤에 토양환경보전법 기준에 맞게 정화한다. 다만 아직까지 오니토가 발견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4대강 공사에서 실제로 이 작업이 이뤄진 적은 없다.

    오염된 준설토는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토양오염대책기준 이내로 정화할 경우 농경지, 공단, 택지 등에 성토재로 사용 가능하다.

    정부는 4대강사업이 친환경사업임을 고려하여 토양오염우려기준(토양오염대책기준 보다 2-3배 강한 기준) 이내로 정화해서 성토재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본문 이미지
    오염된 토양이 발견됐을 경우 처리하는 방법중 준설토세척법의 원리. ⓒ 뉴데일리
    토양정화기술엔 ▲토양 세척법 ▲토양 경작법 ▲열 탈착법 ▲바이오 파일법 등이 있다.  토양 세척법은 세척제로 토양 입자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토양 경작법은 기존의 깨끗한 토양과 오염된 퇴적토를 주기적으로 섞어 미생물 분해를 시켜 정화하는 방법이다.
    열 탈착법은 오염 토양에 고열을 가해 오염물질을 증발시켜 없애는 것이다.  바이오 파일법은 통 안에 오염된 토양을 넣은 뒤 산소를 공급해 토양 속 미생물 분해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으로 오염된 퇴적토가 정화되면, 최종적으로 농경지 등의 윗부분에 쌓은 뒤 평탄화 작업을 하고 토지 소유자에게 인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