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금융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나며 순항하던 한국 경제가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주춤하고 있으며 체감경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고공행진하던 지표경기마저 한풀 꺾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국과 중국, 일본의 `환율전쟁'은 `무역전쟁'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우리나라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수를 활성화하고 성장 잠재력을 키우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력산업 수출.생산 `뚝'..환율 하락 가세

    2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그동안 우리 경제를 이끈 대표 업종인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의 성장세는 하반기들어 둔화하고 있다.

    지난 7월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율(작년 동기 대비)은 각각 27.6%와 25.9%로 1분기의 59.3%와 51.0%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7월 70.8%에 달했던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8월 59.6%로 하락했으며, 자동차 수출 증가율도 같은 기간 47.7%에서 27.5%로 낮아졌다.

    문제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40%를 넘게 차지하는 수출의 여건이 앞으로 더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의 경기 둔화와 유럽의 재정 위기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고, 중국 경기도 상반기만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세계 수출시장에서 제한된 `파이'를 차지하려는 기업 간 경쟁이 과열돼 우리 기업의 경쟁 여건은 불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격해지는 `환율 전쟁'은 수출 감소세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 강대국들이 앞다퉈 자국의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려고 맞서는 와중에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 우리나라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것이다.

    지난 24일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55.20원을 기록해 지난 5월18일 이후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원·달러 환율의 3개월 전망치를 기존의 1,150원에서 1,1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이 추가 부양책을 시사해 달러화 약세 분위기를 만들면서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중국 위안화의 절상을 압박하는 점도 원화 강세를 부추길 수 있는 요인이다.

    삼성선물 전승지 연구원은 "중국도 미국의 선거를 의식해 위안화 절상을 용인할 가능성이 크다"며 "달러화 약세와 위안화 강세는 원화 강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성장세 꺾이나.."내수 활성화 시급"

    국제 금융위기로 경제지표가 하락한 때와 견주는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지표경기에 낀 거품도 서서히 없어질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올해 상반기에 작년 동기 대비 30.1% 증가했다. 총수출과 총수입은 15.3%와 20.1%가 늘었다. 이는 상반기 7.6%의 경제성장률로 요약된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화려한 성적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삼성경제연구소 황인성 연구위원은 "4분기 설비투자 증가율은 상반기보다 매우 낮은 8.8%에 그칠 것"이라며 "총수출 증가율도 10.8%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내년까지 연간 실질 GDP(국내총생산)는 잠재 GDP에 못 미칠 것으로 계산돼 경제가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올해 1분기 6.3%까지 올랐던 민간 소비 증가율도 당분간 3%대로 `반 토막' 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가계의 이자 부담이 점점 무거워지는 가운데 집값 하락으로 `자산효과'가 줄어들고 국제 금융위기 때와 같은 정부의 재정 지원책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두 달 연속 동결한 것에는 지표상 `잡음'을 제거하고 경기를 냉정히 봐야 한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연구본부장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세계 경제가 가장 큰 변수가 될 수 밖에 없다"며 "주요 국가가 `더블딥'(경기 상승 후 재하강)에 빠지지는 않겠지만 국제 금융위기 때 취한 경기 부양책의 효과가 소진되면서 조정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정부 정책은 내수 경기 활성화와 성장잠재력 확충에 역점을 둬야 한다"며 "대외 여건 악화, 가계 부채, 부동산 경기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은 신중하게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