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대표 단지 2년 새 전세가율 평균 이하 하락갭투자자, 전세 상환 압박 속 자금 구하기 어려워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역전세까지 발생하면서 은행들이 고민에 빠졌다. 자칫 전세 차입금 부실로 인해 은행까지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강남 주요 단지에서 전세 재계약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현금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서울 지역 전세가율이 지속해서 하락하면서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하락한 만큼 금액을 보상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잠실 엘스, 파크리오, 도곡 렉슬 등 강남 대표적인 단지의 지난 5월 전세 가격은 2016년 12월 평균 가격 이하로 하락했다.

  • ▲ ⓒ뉴데일리
    문제는 집주인이 전세 차입금을 돌려주지 못했을 경우다.

    그동안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원인은 이전 정부의 과도한 부동산 부양책 때문이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50~60대 은퇴 세대들은 노후 대비를 위해 부동산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려왔다.

    은행 역시 저금리로 자금을 공급하면서 원금의 10~20%로 전세를 낀 아파트나 분양아파트를 구매하는 소위 갭투자와 임대사업자가 성행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반전됐다. 아파트 공급 물량이 늘면서 전세가율은 나날이 떨어지고 있다.

    키움증권 서영수 수석연구위원은 “주택가격 하락 초기에는 전세가격 하락에 따른 차액 지급 문제가 부각될 것이며 장기화되면서 전세 차입금 상환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거주주택 이외 주택을 투자한 투자자의 경우 기존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보유한 다중채무자일 확률이 높다.

    결국 전세 차입금 상환에 실패하고 이후 경매 등의 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임대인의 소득 및 자산 등에 대한 가압류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다른 대출까지 부실이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4대 은행의 부동산 임대업 대출 규모는 2017년 말 기준 163조원에 달한다. 이는 자기자본의 108.6%에 달하는 수치다.

    은행들이 수익성 확보를 위해 부동산대출을 늘린 게 이제는 부실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