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노위 마지막 조정회의 개최, 노사 합의 여부 관심금노 총파업 가능성 시사하며 사측 압박, 실효성은 의문
  • ▲ 금융노조 ⓒ 뉴데일리DB
    ▲ 금융노조 ⓒ 뉴데일리DB
    주52시간 근무 상한제 조기 도입을 두고 은행권 노사가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조정회의를 단 한 차례 
    남겨둔 가운데 노사갈등이 봉합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실무자들은 지난 4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 2차 회의에 참석했지만 뾰족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 주52시간 근무 상한제 조기 도입을 두고 금노와 사용자협의회의 교섭이 결렬된 뒤 지난달부터 중노위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28일 열린 중노위 첫 회의에서 은행 노사가 각자의 입장을 피력했고, 지난 4일 열린 2차 회의에서도 장시간 의견 개진이 이어졌으나 합의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

    중노위는 오는 9일 예정된 마지막 조정회의를 앞두고 노사 양측에 이견을 좁혀올 것을 주문했으며, 최종 의견을 수렴해 조정 결론을 내리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산별 교섭 대표단인 국민‧신한‧농협‧부산‧한국감정원의 노사 대표들은 5일과 6일 각자 협의회를 개최하고 최종 입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노사갈등의 핵심 쟁점은 주52시간 근무 상한제의 조기 도입 여부다. 사측은 예외 직무 인정을 주정하고 있고, 노조는 전 직군 일괄 시행을 강조하고 있다.

    노조는 새로 인력을 충원해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업무 공백을 메워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은행 측은 수익성과 비용 문제를 이유로 난색을 보이는 중이다.

    이처럼 주52시간 근무 상한제 조기 도입을 두고 노사 입장차가 워낙 크다 보니 의견 일치를 이뤄내기 힘들 전망이다.

    특히 금융노조가 지난달 18일 산별교섭 결렬을 선언하며 총파업 가능성까지 제시한 만큼 다시 한 번 노사 갈등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

    지난 2016년 정부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막기 위해 금융노조가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고, 총 34개 은행 노조 지부가 참여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융노조가 꺼낼 총파업 카드 파급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등 비대면 채널 활성화로 최근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하는 이들이 많지 않아 총파업을 한다 해도 고객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지 않아서다.

    실제 2016년 당시에도 은행 노조원 참여율이 높지 않았고, 금융소비자 관심도 끌지 못하면서 총파업이 실패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주52시간 근무제 도입을 두고 노조가 사측을 압박하기 위해 총파업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이는 별다른 위협이 되지 못할 것"이라며 "노사 모두 제도를 최대한 빨리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