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전략 범국가적 추진체계 구축, 전략위원회 실행계획 수립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 등 5개 서비스와 차세대 스마트폰·로봇·드론 등 10개 산업 분야 핵심 전략산업5G 생태계 구축에 2023년까지 민관 30조 이상 투자 역량 결집
  • 정부가 오는 2026년까지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장비 시장 점유율을 20% 달성하고,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3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생산액 180조원·수출액 730억달러(약 83조원)를 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전경련 회관에서 이 같은 골자의 '5G+ 전략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제1차 전략위원회에서는 글로벌 5G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민·관이 기술·시장의 빠른 변화에 공동 대응하고 실행에 협력하기로 했다.

    정부는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 디지털 헬스케어 등 5개 분야를 5G 시대 '5대 핵심서비스'로 정하고 ▲차세대 스마트폰 ▲네트워크 장비 ▲엣지컴퓨팅 ▲정보보안 ▲V2X(차량통신기술) ▲로봇 ▲드론 ▲지능형 폐쇄회로(CC)TV ▲웨어러블 디바이스 ▲AR·VR 디바이스 등을 '10대 핵심산업'으로 선정했다.

    5대 핵심서비스 분야에서는 올해 안으로 5G 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 확대, 국립박물관 4개소(중앙·광주·대구·청주) 체험관 구축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5G 기반 생산성 혁신기술(물류이송로봇, 예지정비 등)의 산업현장 실증을 지원하고, 판교(제로시티)·대구(수성)에서 자율주행셔틀 기술검증과 시범운영을 실시한다. 관계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소방청·식약처 등) 간 '디지털 헬스케어 체감서비스 연구반'도 운영한다.

    10대 핵심산업에서는 단말 및 차량통신(V2X) 분야 해외수출 지원을 위한 국제공인인증 서비스 제공에 착수하고, '5G 네트워크 장비 얼라이언스'를 구성할 방침이다. 공공수요와 연계한 5G 드론의 활용모델을 발굴·실증하는 동시에 '5G+ 스펙트럼 플랜'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5G 초연결 환경에 따른 보안 내재화를 위해 '5G+ 핵심서비스 융합보안 강화 방안'을 수립하고,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같은 5G 생태계 구축을 위해 2023년까지 민간과 함께 30조원이 넘은 금액을 투자할 방침이다. 전략위원회는 논의결과와 지속적인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향후 5G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실행방안을 보완·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전략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범부처 5G 전략 실행계획을 토대로 선도적 투자를 확대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을 통해 'World Best 5G KOREA'의 위상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G 서비스는 지난 4월 3일 상용화 이후 69일만인 6월 10일 가입자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삼성과 LG는 5G 스마트폰을 미국 및 유럽(영국·스위스), 호주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으며 SK텔레콤은 MS·도이치텔레콤(독일)·싱텔(싱가포르)과 5G 신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