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제로배달 유니온' 출범경기 '공공배달' 사업자 모집업계 "민간 분야 지나친 개입… 시장 생태계 교란"
  • ▲ 박원순 서울시장이 25일 오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제로페이 기반의 '제로배달 유니온' 협약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박성원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25일 오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제로페이 기반의 '제로배달 유니온' 협약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박성원 기자
    배달 앱 수수료 논란이 불거진 후 시작된 지자체의 공공배달앱이 산으로 가고 있다. 여론을 의식한 이재명 경지지사와 박원순 서울시장이 경쟁적으로 나서면서 '생색용'으로 흐르는 조짐이다.

    박원순 시장은 제로페이와 민간 중소 업체들의 배달앱을 결합한 수수료 2%의 '제로배달 유니온'을 지난 25일 선보였다. 제로페이 가맹점 인프라를 민간 앱에 제공하고 민간 앱은 낮은 수수료로 소상공인을 돕겠단 취지다.

    제로배달 유니온에는 페이코, 멸치배달, 만나플래닛, 먹깨비, 배달독립0815, 놀장, 로마켓, 주피드, 띵동, 스마트오더2.0 등 10개 배달앱이 참여한다. 앱 내 결제수단으로 제로페이 기반 서울사랑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 앱들이 6~12%이던 배달 수수료는 2% 이하로 유지한다.

    제로배달앱은 회원 120만 명, 가맹점 25만 개의 제로페이를 활용해 후발 배달앱업체가 큰 비용 없이 소비자와 가맹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이번 대책은 새로운 배달앱을 만들거나 공공 재원으로 수수료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타 지자체와는 차별화된다"며 경기도를 겨냥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경기도의 '공공배달'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방정부 역할에 맞는 공공 배달앱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공식 선언 후 공공배달앱 구축에 한창이다.

    최근 경기도 산하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는 주민의 생활 편의 증진 및 플랫폼 노동자와 소상공인 권익 보호를 위한 '가칭 공공배달앱 구축사업' 컨소시엄 사업자 모집을 마감했다. 제안에는 KB은행, NHN페이코(외 GS리테일, ㈜매쉬코리아 등 26개 기업), 인터파크, 코나아이(외 씨앤티테크 등 4개 기업) 등 대표기업 10개를 포함해 총 56개 업체가 참여했다.

    경기도주식회사는 7월 시범 지역과 민간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10월께 배달앱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두 단체장의 경쟁 모습에 시장의 반응은 호의적이지 않다. '지나친 생색내기'에 자칫 배달앱 생태계만 망가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업계 관계자는 "제로배달 유니온이 활용하는 서울사랑상품권이 액면가보다 7∼10% 낮은 가격에 판매되고 차액은 세금으로 보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게 무슨 공공앱인가 싶다"며 "결국 민간 생태계만 교란시키고 있다"고 불편함을 드러냈다.

    용산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저렴한 수수료는 좋지만 고객이 있어야 입점할 가치가 있다"며 "음식점을 운영하느라 바쁜데 기존 배달앱 이외에 신규 플랫폼을 설치하고 사용 방법을 배울지 모르겠다"고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