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미국 오피스 인수 공식화방통위, 틱톡 모니터링 강화…네이버 등 영상 콘텐츠 몸집불리기 '박차' "자회사로 편입될 경우 보안 논란서 자유로워…정부, 행정 집행력 갖기도 수월"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최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모바일 동영상 공유앱 '틱톡(TikTok)'의 미국 오피스 인수협상을 공식화한 가운데, 국내 기업의 한국 틱톡 오피스 인수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 정부도 지난달 틱톡에 억대 과징금을 부과하며 안보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관련 가능성 역시 열려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MS는 틱톡 미국·캐나다·뉴질랜드 오피스 인수를 검토 중이다.

    그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틱톡에 안보 문제를 제기하며 자국내 퇴출 의사를 여려 차례 드러냈지만, '45일 시한부'로 인수협상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틱톡의 모기업이자 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바이트댄스'에게 자국민의 개인정보가 넘어갈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업계는 미국 젊은층을 중심으로 틱톡 사용 억제에 대한 반발 여론이 일자 오는 11월 대선을 의식해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고 있다. 

    MS는 공식블로그 성명을 통해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틱톡 인수에 있어 미국 재무부 등에서 안보 심사를 완전하게 받을 것이며 미국에 제대로 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신속하게 협상을 진행해 다음달 15일 이전에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미국 행정부, 대통령과도 조율을 이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국 틱톡 오피스에도 관련 영향이 미칠지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틱톡은 현재 글로벌 본사를 따로 두지 않고 있어 한국 오피스 역시 MS에 흡수될지, 아니면 기존대로 바이트댄스 산하로 한국 사업을 영위하게 될 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일각에선 국내 ICT 기업의 한국 오피스 인수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미국 상황을 국내 대입해 봤을 때 관련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실제 우리 정부도 최근 틱톡에 칼을 빼들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를 법정 대리인 동의없이 수집한 틱톡에 과징금·과태료 1억 8600만원을 부과한 것이다.

    방통위에 따르면 틱톡은 2017년 5월 31일부터 지난해 12월 6일까지 만 14세 미만 아동 개인정보를 최소 6007건 이상 수집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방통위는 틱톡이 국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하고 있음에도 이를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은 점을 정보통신망법 63조2항 위반으로 봤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당시 "틱톡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사업자"라며 "향후 관심을 가지고 추후에도 시정조치 이행여부에 대해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등 국내 ICT 기업들이 영상 분야서 영토확장에 나선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네이버는 최근 SM엔터테인먼트 계열사 'SMEJ Plus', '미스틱스토리'에 1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네이버는 공연·음악·영상 등 콘텐츠 발굴·제작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아티스트들과 브이라이브·NOW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플랫폼간 시너지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 역시 몇해 전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 모바일 방송국 '메이크어스'를 인수했다. 메이크어스는 음악, 음식, 여행, 뷰티 등 다양한 주제의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타트업이다. 특히 메이크어스의 음악채널인 '딩고 뮤직'은 젊은층의 새 모바일 음악 채널로 자리매김한 바 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MS의 영어권 오피스 인수 이후에도 한국 오피스가 바이트댄스 산하로 국내 사업을 영위하게 된다면, 보안 우려가 지속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며 "미국 사례와 최근 한국 정부가 틱톡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점, 그리고 국내 ICT 기업들이 콘텐츠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인수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업이 한국 틱톡 오피스를 인수하게될 경우, 우리나라 기업의 자회사로 편입되기 때문에 안보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질 뿐 아니라, 보안 이슈가 터진다해도 정부가 행정 집행력을 갖기 수월해 국가적, 경제적으로 윈윈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