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한국GM 노조,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르노삼성 임단협 재개… 기아차 쟁의행위 고심쌍용차 이번 주 인수의향서 마감
  • ▲ 수출 부두에 주차돼 있는 자동차. 본 기사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음 ⓒ한국GM
    ▲ 수출 부두에 주차돼 있는 자동차. 본 기사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음 ⓒ한국GM
    자동차 업계가 이번주 노사 갈등의 향방을 가르는 분수령을 맞는다. 임금 인상, 정년 연장 등 숱한 이견 속에 가까스로 파국은 모면할 절충점을 찾았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기회’는 지켰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것으로 파업 위기가 완전히 매듭지어진 건 아니다. 조합원 찬반투표라는 최종 관문이 남아 있어서다.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기아와 르노삼성은 또다시 벼랑 끝에 몰릴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GM은 26일 오후 7시 40분부터 임금 협상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찬반투표는 다음날 오후 1시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노사는 지난 22일 저녁 늦게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지난 5월 말부터 14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한 끝에 이뤄낸 극적 합의다.

    잠정합의안은 △기본급 월 3만원 인상 △격려금 450만원 △부평2공장 생산 연장 노력 등을 담고 있다.

    업계는 이번 잠정합의안이 경영 정상화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름휴가 전 절차를 마무리 지어야 생산 차질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GM은 코로나를 뚫고 조금씩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레일블레이저는 지난달 수출 대수 1만5165대로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달 말 누적 기준으로 보면 8만1991대에 달했다.

    트레일블레이저는 기획부터 개발, 생산까지 한국에서 이뤄진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다.

    이 같은 성과에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한국GM이 능력을 성과로 입증했다’는 평가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잇단 파업으로 실적 회복을 이뤄내지 못했다며 대규모 투자를 보류한 지난해와 180도 달라진 분위기다.

    한 관계자는 “모처럼 노사 갈등을 푸는 기회를 맞았다”며 “찬반투표에서 잠정합의안이 가결되면 흑자로 전환하는 불씨를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맏형인 현대차도 임금 및 단체협약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오는 27일 치른다. 두 회사의 임금 인상 타결 여부가 같은 날 나오는 상황이다.

    현대차 노사는 △기본급 월 7만5000원 인상 △성과급 200%+35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30만원 △특별합의 주식 5주 △재래시장 상품권 10만원 등의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만약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과하면 3년 연속 파업 없이 임단협을 마무리짓게 된다. 2009년 이후 10년 만의 기록이다.

    다만 가결 전망은 불투명하다. 노동조합 집행부와 달리 강성 계파 소속 조합원이 벌써 부결 운동에 나섰다. 여기에 사무·연구직 반대 의견이 분분한 만큼 투표함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이 많다.

    현대차는 기술·생산직 3만6300여 명, 사무·연구직 2만4400여 명인 만큼 투표 참여, 결속력 여부가 최종 승패를 가를 전망이다. 지난해엔 찬성률 52.8%로 교섭이 타결됐다.

    기아와 르노삼성, 쌍용차는 이렇다 할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기아 노사는 임단협 요구 사항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노조는 사실상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 준비를 시작했다.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하고 오는 28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갖는다. 전면파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르노삼성 노사는 3개월여 만에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지난해 임단협을 타결 짓지 못했다. 이들은 지난 22일 교섭 재개를 선언하고 노사 갈등 해소에 전향적 뜻을 밝히고 있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쌍용차는 오는 30일 인수의향서 접수를 마친다. 미국 HAAH오토모티브가 새 회사를 꾸려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밟힌 가운데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여름휴가 전 임금 인상 등 현안을 마무리 짓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며 “반도체 부족 사태 등 경영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하반기 위기 돌파에 집중하지 못하고, 노사 간 소모적 갈등을 이어가는 것은 모두 손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