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4~12/1까지 1.1조 규모 출하차질 타격 尹, 관계장관회의서 "업무개시명령 발동 준비하라"철강업계, 시멘트 분야처럼 회복세 기대
  •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화물연대 파업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화물연대 파업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다. 산업계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되자 정부는 시멘트에 이어 조만간 정유 및 철강 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전망이다. 위기에 놓인 철강업계에 다소 숨통이 트일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진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철강 분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오후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철강, 정유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은 국가조찬기도회에서도 “자유와 연대의 정신이 살아 숨쉬고 법과 원칙이 바로 서는 나라를 만들어갈 것”이라며 “우리 국민과 국가를 위하는 길이라면 어려운 길을 마다하지 않고 걸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사태에 대한 강경한 대응 기조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업무개시명령 카드를 적극 검토하는 이유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철강업계의 피해가 1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큰 타격을 받고 있어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1일까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등 5개 철강사의 누적 출하차질 금액은 8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철강업계 전체로 확대하면 1조1000억원 규모다. 
  • ▲ 지난달 24일 포항철강산업단지 부근에서 화물연대가 총파업 출정식을 갖는 모습. ⓒ연합뉴스
    ▲ 지난달 24일 포항철강산업단지 부근에서 화물연대가 총파업 출정식을 갖는 모습. ⓒ연합뉴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1만톤, 광양제철소 1만7000톤 등 하루 총 2만7000톤의 물량이 육상으로 출하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현대제철은 포항공장 8000톤 등 총 5만톤, 동국제강은 2만톤 규모의 물량이 출하에 차질을 빚고 있다. 

    철강업체들은 철강 제품을 공장 밖으로 내보내지 못하자 내부에 쌓아두고 있다. 그러나 파업이 길어지면서 물량을 쌓아둘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적재할 공간이 남아있다”면서도 “파업이 장기화되면 어쩔 수 없이 감산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포스코는 지난 6월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선재 1~4공장 전체와 2냉연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철강업계는 업무개시명령이 시행될 경우 시멘트 분야처럼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정부가 지난달 29일 시멘트 운송거부자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발동된 이후 평시 대비 시멘트 출하율은 지난달 24일 5%에서 29일 10.5%, 이달 3일 80%까지 증가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경기침체 여파로 업체들의 실적 전망이 좋지 않은 가운데 파업까지 겹쳤다”면서 “현재 기업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으며, 파업이 빨리 마무리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