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고령화·청년현장기피…외국인 건설노동자 32만명외노자 산업재해 발생률 내국인比 6배↑…작년 75명 사망 포스코 '소통앱'·대우 '통역사'·한화 '모국어 안전교육' 실시
  • ▲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뉴데일리DB
    건설업계가 심각한 인력난에 직면했다. 건설근로자의 고령화와 청년층 현장기피 현상이 겹치면서 일손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가 된 것이다. 인력충원을 위한 인건비 인상도 공사비 증액으로 이어질 수 있어 건설사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선택지다.

    이에 외국인근로자들이 부족한 일손을 메꾸고 있지만 언어장벽과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해 건설사로선 또 다른 골칫거리다. 

    19일 건설근로자공제회 2022 건설근로자 수급실태 및 훈련수요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체 건설현장 외국인근로자 비율은 16.7%로 약 32만명에 이른다. 

    앞으로 더 문제다. 향후 3년간 전국 건설현장에 부족한 인력은 약 16만9000명으로 이를 대체할 외국인근로자 고용은 보다 활발해질 전망이다. 

    정부도 건설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특별고용제한 해제를 추진하는 등 정책지원에 나섰다. 그동안 불법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다 적발되면 벌금과 외국인 고용제한 조치를 받았는데 인력난 해소를 위해 해당규제를 완화하기로 한 것이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외국인 수급을 통해 일손부족이 해결되면 인건비와 공사비 상승을 막아 장기적으로 분양가를 낮추는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국내근로자들이 기피하는 알폼(알루미늄 거푸집) 설치작업 같은 고위험공정 생산성이 높아져 현장전반의 공사효율도 증대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외국인근로자 비율이 늘어날 수록 산업재해 등 안전사고 문제도 덩달아 높아질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 고용노동부 통계를 보면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내국인보다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대재해 사망자 668명중 외국인근로자가 75명으로 전체 11% 차지했다.  

    이들이 각종 사고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는 언어장벽 탓이 크다. 외국인근로자 상당수가 언어나 업무관련 지식·경험이 부족한 상태로 현장에 투입되다 보니 안전교육이나 지침사항을 숙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잖다.

    예상치 못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사례도 빈번하다.  

    5년째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김모 씨는 "이제 막 투입된 외국인근로자 열에 아홉은 한국말이 매우 서툴러 안전교육을 실시해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안전교육도 중요하지만 언어문제부터 해결해야 사고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장에서 처음 일할 때만 해도 보통 막내뻘만 외국인이었는데 이제는 중간관리자급도 외국인인 경우가 꽤 많다"며 "국적과 언어가 다양하다 보니 외국인근로자끼리도 소통이 잘 되지 않아 아찔했던 상황이 몇 번 있었다"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은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한 중대재해법 처벌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근로자 교육·관리에 공을 들이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기본안전수칙과 안전관리·일상표현 등 약 250개 문장을 중국·베트남·미얀마·캄보디아·태국 등 5개국어를 표현한 '외국어 소통 전용앱'을 개발해 활용중이다. 앱에는 번역기능이 삽입돼 위급상황 발생시 외국인근로자와 신속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대우건설은 현장에 외국인통역을 고용해 언어장벽 해소에 힘쓰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현장에 안전자격증을 보유한 외국인통역을 배치해 안전교육과 안전문화 전수, 근로여건 개선, 교육자료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안전보건공단에서 배포한 모국어안전교육자료와 현장 외국인통역을 활용해 현장에서 매일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현장 외국인의 언어·안전문제는 예전부터 지적돼왔지만 이들 대부분이 원청 건설사가 아닌 협력업체 소속이다 보니 관리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며 "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건설사들도 이전보다 외국인근로자 관리에 더욱 신경쓰는 분위기"라고 말했다.